충청지역의 산업재해가 너무 잦다. 지난 주말 신축 중인 대전시 관저동 다목적체육관에서 화재가 발생해 중상자 1명을 포함 11명의 부상자가 나왔다. 그 직전에는 세종시 부강면의 한 스티로폼공장에서 불이나 7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었다. 대전-당진 고속도로 보수 공사 작업 중 근로자 4명이 추락해 숨진 것도 올해 일이다. 세종시 주상복합건물에서 불이 나 40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일도 있었다. 후진국형 사고를 언제까지 겪어야 달라질 건지 답답하다.

대전지방노동청이 관할하는 대전 충남지역 산재 사망자수는 지난 8월 기준 29명이나 된다. 전년 동기 보다 14명이 늘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애꿎은 근로자가 희생되고, 재산상 피해가 이만 저만 아니다. 그런데도 산재 사고가 끊이지 않으니 의아스럽다. 세종시를 중심으로 도시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공사 현장이 크게 늘어난 게 외형적 이유라고는 하나 납득이 잘 안 된다.

재해가 잇따르자 대전노동청이 각종 안전관리대책 시행에 들어갔건만 사정은 그다지 나아지지 않았다. 안전관리가 불량한 건설현장을 감독하는 `이동순찰대`를 운영하고, 기관-감독관을 매칭하는 일 대 일 현장 관리 등을 하고 있음에도 효과는 미지수다. 지난해 정부가 내놓은 `중대 산업재해 예방 대책` 같은 고단위 처방도 현장에서는 약발이 듣지 않는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이래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한국의 산재 사망률을 끌어 내릴 수 없다.

관계 당국의 공조 아래 현장 점검을 강화하는 게 필수다. 산재 발생 우려가 있는 위험사업장을 분류한 뒤 불시감독 등의 방법으로 안전에 소홀한 부분은 없는 지 꼼꼼히 들여다 볼 일이다. 나아가 안전사고 발생 시 처벌을 강화해야 효과가 올라간다. 기업과 근로자는 오래 된 작업 관행을 되풀이 하고 있는 건 아닌 지 돌아보기 바란다. 비용 절감이나 공기 단축에 앞서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인식 개선과 실천이야말로 산재 예방의 지름길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