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국책연구단지 내 10개 기관이 제각각 도서관을 운영하는 대신 통합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이 과거와 확연히 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적극 검토해 봄직한 사안이다.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10개 도서관은 모두 3643㎡ 규모로 운영인력은 19명이다. 보유 장서는 종이책 46만 7000권과 전자책 1만 권 규모다. 통합 운영할 경우 기관에 따라 들쑥 날쑥한 장서로 인해 이용에 한계가 있는 연구기관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10개 도서관은 인력과 장서 규모가 크게 다르다. 595㎡ 크기의 도서관을 가진 산업연구원은 2명의 인력이 종이책 9만 5000권과 전자책 8800권을 관리하고 있다. 도서 구입비로만 지난해 2억 5000여만 원을 사용했다. 반면 규모가 작은 축에 속하는 노동연구원은 전자책이 없이 종이책 5만 권 만을 보유하고 있는 데 그치고 있다. 지난해 도서구입비로 쓴 돈도 600만 원에 불과하다. 덩치가 작은 연구기관은 도서관이 덩달아 빈약해 연구 활동에 필요한 자료 확보에 애를 먹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로 전자책을 보유하지 못한 기관이 노동연구원과 환경정책연구원, 교통연구원 등 3곳이나 된다.

21세기 집현전으로 불리는 나라키움 세종 국책연구단지는 따로 살림하던 국책연구기관들을 한 데 모아 2014년 세종시에 만들었다. 한 곳에 들어서도록 해 연구 시너지를 키우자는 계산이었다. 하지만 도서관 운영 실태를 보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인상이다. 더구나 오늘날의 도서관은 날로 진화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대학도서관 120여 곳이 공동으로 통합전자도서관을 구축 중인 게 대표적이다. 국책단지 기관들이 통합 도서관을 운영하면 가시적으로는 예산 낭비와 효율성 제고 효과가 나온다. 나아가 기관 간 협업의 첫걸음을 떼면서 연구 시너지를 높이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