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임금·단체협상(임단협) 중인 현대제철 당진공장 노조(이하 현대제철노조)가 파업을 선택해 지역 안팎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자칫 파업이 장기화로 이어질 경우 지역경제활성화에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제철 노조는 이달 첫 주 3일간 1차 파업에 이어 15일부터 20일까지 5일간 2차 파업에 들어갔다. 이들은 5조3교대제 시행일자 확정과 양재동 가이드라인 폐기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김정렬 현대제철지회 정책부장은 "우리는 2017년 경영실적을 가지고 요구하고 있는 반면 현대제철에서는 현대자동차 보다 임금이나 상여금을 더 줄 수 없다는 양재동 가이드라인을 들여대고 있어 이번 기회에 양재동 가이드라인을 폐기해야 한다는 입장이며, 5조3교대 역시 사측에서 약속한 시한인 2020년까지 2년 밖에 남지 않았는데 준비가 돼 있지 않아 시행 일자를 확정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이다"고 노조의 입장을 전했다.

현대제철이 이번 협상에서 내건 안은 기본금 4만3788원 인상과 성과금 250% + 280만원, 상품권 20만원 등이다. 성과금만 1000만원이 넘는다.

현대직원의 평균급여는 8500만원으로 포스코 8800만원에 이어 철강업계에서 두 번째로 많다. 하지만 포스코의 경우 근속연수가 20년에 가까운 반면 현대제철은 11년 남짓해 실제로 포스코 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제철노조는 5조3교대제 시행 일자를 확정하라고 요구하는 반면 현대제철은 효율성, 생산성,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대제철은 또, 전 공정에 걸쳐 직무형태와 현실화할 수 있는 적정 근무인원, 5조3교대가 됐을 때 임금감소는 어떻게 할 것인지 등에 노사의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서로 다른 방식으로 6개 공장에서 생산이 이뤄지는 만큼 타 지역 공장과 협력업체의 상황도 고려해야 하며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검토를 거쳐 2020년까지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측은 "파업은 모두에게 손실과 상처만 줄 뿐이며 결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노사간 협상이다"며 "협상을 통해 합리적인 합의점을 도출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현대제철의 임단협 지연은 지역경제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현대제철 당진공장에서 근무하는 인원은 협력사 외주사 등을 포함해 1만7000명이 넘는다. 인구수와 구매력 등을 감안할 때 현대제철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당진상공회의소는 호소문을 통해 "임단협이 장기화되고 이번 파업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식당을 비롯한 대부분의 업종이 위기 상황에 몰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차진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