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가 그제 `깨끗한 해양 만들기 개선 종합대책`을 내놓았다. 먼저 해안쓰레기를 줍는 미화원을 현재 39명에서 내년 79명으로 확충하기로 했다. 굴착기 1대 뿐인 장비도 8대(굴착기 4대·차량 4대)로 늘려 수거 능력을 높인다. 금강 하구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 들기 전 수거하는 차단시설 설치와 더불어 침적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시설도 갖춘다. 중장기적으로는 폐어구(廢漁具)가 쓰레기가 되지 않도록 어구실명제를 도입할 것이라고 한다. 바다로 흘러 드는 폐비닐이나 플라스틱 같은 육지 쓰레기를 막아서 청정 바다를 만들기로 한 게 눈에 띈다.

충남도의 경우 해양쓰레기 발생량이 연간 1만 4600톤으로 추정되지만 지난해 기준 수거량은 1만 1215톤으로 집계됐다. 약 77% 정도가 관리될 뿐 나머지 23%는 연안지역 미관을 해치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범으로 쌓여간다는 얘기다. 바다를 떠도는 쓰레기가 늘어나는 속도마저 빨라지는 추세여서 최근 4년 사이 두 배 가까이 급증했다는 모니터링 결과도 있다. 연안에 인접한 육지에서 주민들이 쓰다 버린 생활용품이 유입되거나 바다에서 사용한 물품이나 어구 등을 무차별적으로 버리면서 생긴 일이다. 바다 생태계가 오염되고, 선박의 안전까지 위협 받는 건 자업자득인 셈이다. 깨끗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인식 전환이 절실한 이유다.

충남은 천혜의 바다인 서해와 금강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만큼 오염원에 노출돼 있는 게 사실이기도 하다. 도내 다른 기초자치단체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이웃한 경기도·전북도와도 오염을 줄이기 위한 연계 시스템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환경부와 농림수산식품부 같은 중앙 부처와의 협업도 필수다. 오염을 최소화 하려면 서해 연안의 쓰레기 규모와 발생량, 피해 정도 등을 보다 면밀히 조사해야 정교한 정책 추진이 가능해진다. 서해를 가진 축복이 해양쓰레기로 인해 재앙으로 변하지 않도록 체계적인 관리에 적극 나서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