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종합대책 추진… 10년간 1375억 원 투입

해양쓰레기에 바다가 신음하고 있다. 생태계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미치는 악영향도 커 최근 전세계적으로 1회용품 줄이기 운동이 일어날 정도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겐 더욱 심각한 문제다.

해양수산부는 2016년 나일론 어구가 유실될 경우 600년간 썩지 않아 물고기가 그물에 걸려 죽게 되고, 이런 유령어업으로 인한 피해가 연간 우리나라 어획고의 10%인 3800억원에 이른다고 발표한 바 있다. 폐 로프, 폐어망 등의 해양부유물이 감겨 배가 멈춰서는 안전저해 건수는 2014년 119건에서 2016년 205건으로 72%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충남도는 해양쓰레기 피해를 없애기 위해 수집·재활용 등 전반적 제도개선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10년 동안 총 1375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는 연 평균 137억 5000만 원으로, 지난해 예산 48억 원의 2.9배에 달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충남 천안을)이 국정감사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매년 해양쓰레기 발생 추정량은 9만 1195톤에 달한다. 서해에만 4만 9227톤(42.6%)의 침적쓰레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4만 9080톤에서 2017년 8만2175톤으로 67%나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전체 발생량에는 미치지 못한다.

충남도내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1만 4600톤으로 추정되며, 지난해 기준 수거량은 1만 1215톤으로 집계됐다. 해마다 3000여톤의 쓰레기가 쌓이는 셈이다. 충남도는 최근 해양쓰레기 관리 방향인 `줄이기` 위주의 정책만으로는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어렵다고 보고 이번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단기적으로는 우선 현재 39명인 해양환경미화원을 내년 79명으로 2배 가까이 늘려 수거율을 높인다. 현재 굴삭기 1대에 불과한 수거 장비도 굴삭기 4대, 4륜구동 차량 4대 등 2종 8대로 대폭 늘린다. 육상에서 쓰레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차단시설 설치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방조제 내 부유쓰레기 수거를 건의할 예정이다.

중장기 개선 방안으로는 △상류 지역 지자체 처리비용 분담 △해양쓰레기 전문 수집·운반 대행업체 육성 등으로 잡았다. 국회 계류 중인 `어구관리법` 제정에도 힘을 쏟아 어구관리 실명제 도입, 생분해성 어구 보급 사업 확대 등을 추진키로 했다.

서해권 침적쓰레기 대응센터 설립, 찾아가는 해양쓰레기 콜센터 시범 운영, 도서 지역 방치 쓰레기 일제 정리, 재활용품 전처리시설 확대 등도 추진한다. 광역 종합 전처리시설은 내년 입지 선정 및 타당성 조사 용역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해양쓰레기는 연안 지역 미관을 해치고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다양한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며 "이번 대책이 깨끗한 바다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고 해양환경미화원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민·김정원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해양쓰레기의 가능성이 높은 어구. [사진=대전일보DB]
해양쓰레기의 가능성이 높은 어구. [사진=대전일보DB]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