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밭수목원 개방과 택시 뒷자리 결제 시스템 등도 시민 불편과 민원 이어져

`새로운 대전, 시민의 힘으로`라는 슬로건을 내건 민선 7기 대전시가 정작 시민 편의는 도외시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여러 부분에서 시민 편의가 고려되지 않으면서 시가 내건 슬로건은 허울뿐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시에 따르면 장대삼거리 교통대책을 비롯 택시 뒷자리 카드 결제시스템 도입과 한밭수목원 입장제한 시간 완화 요청 등 현재 시민들의 민원과 불편사항이 접수되고 있다.

우선 장대삼거리(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건설공사)는 교차로 건설 방식을 놓고 시민 감사청구에 이어 최근에는 교통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대책위원회까지 구성되는 등 논란이 일고 있다.

입체(고가방식) 방식으로 결정됐던 장대삼거리가 평면 방식으로 변경되며 이 도로에 대한 정체현상이 해소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핵심이다. 특히 향후 대전과 세종을 오가는 차량들이 현저히 늘어날 전망이어서 이 도로에 대한 정체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다.

장대동에 거주하는 시민 하모(37)씨는 "교통 정체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고가교차로로 건설돼야 한다"며 "시간이 더 소요된다 하더라도 고가와 평면에 대한 검토가 다시 한 번 이뤄져야 한다"로 주장했다.

평면교차로 도입 계획이 강행되면서 반대여론은 끊이지 않았다. 평면교차로 방식을 반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감사청구가 감사원에 접수된 것. 하지만 감사원 판단이 시가 내세운 입장만 고려되면서 감사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감사를 청구한 시민 이모씨는 "감사원 담당공무원이 토목직이 아닌 행정직이 처리해 정확한 감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라며 "감사 결과는 대전시청이 정리한대로 돌아왔다. 안타까운 부분"이라고 토로했다.

최근에는 장대삼거리를 비롯해 유성지역의 만연한 정체현상을 개선해달라는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유성현충원로주민교통대책위원회 측이 현충원로를 비롯해 장대삼거리 등 유성의 전반적인 교통흐름 문제 개선을 요구하며 유성구청사에서 시위를 벌이고 있는 것이다.

유성현충원로주민교통대책위원장(지광 스님)은 "장대삼거리를 포함하는 현충원로는 현충일이나 명절 때를 제외하고도 교통 체증이 심각하다"며 "장대삼거리의 경우 평면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하는데 평면으로 하면 당연히 막힌다. 유성의 전반적인 교통 흐름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충원역 인근 주차장을 확장하거나 현충원 후문을 개방해 여러 방향으로 차량들이 들어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택시 뒷자리 카드결제 시스템 도입과 관련해서도 시는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결제 시스템 도입을 위해서는 예산(8억 원)이 투입돼야 하지만 예산 수반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특히 그동안 진행된 업체와의 협의는 시스템 설치 비용을 놓고 논의한 게 전부로 파악됐다.

주부 김모(41)씨는 "다른 불필요한 예산은 펑펑 쓰며 정작 시민 편의를 위한 예산에는 인색한지 의문"이라며 "뒷자리 카드 결제 시스템이 도입된 서울처럼 대전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운영시간을 놓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한밭수목원 문제도 마찬가지. 운영시간이 제한돼 있어 시민 이용에 제약이 따르지만 정부 예산지원을 받기 위해 전면 개방은 무리라는 게 시의 입장이다.

이처럼 시민 편의와 직결된 여러 사안들이 답보상태에 머물면서 비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민 최모(49)씨는 "자치단체는 시민 편의를 가장 우선시 하는 행정을 펼쳐야 한다"라며 "새로운 대전시장은 시민들을 위한 대전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시장이 직접 나서 시민 요구와 편의사항을 해결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한밭수목원은 갑천, 유등천, 정부대전청사 녹지축과 연결된 전국최대의 도심속 수목원이다. 4일 드론으로 촬영한 대전한밭수목원 동원 전경. 사진=윤종운 기자
한밭수목원은 갑천, 유등천, 정부대전청사 녹지축과 연결된 전국최대의 도심속 수목원이다. 4일 드론으로 촬영한 대전한밭수목원 동원 전경. 사진=윤종운 기자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