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88 프로젝트] 난소암

김철중 건양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김철중 건양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난소암은 전체 여성암 가운데 사망요인 4위를 차지할 정도로 치명적이다. 2015년 국가암통계에 따르면 난소암은 국내 여성암 발생률 10위이며 10만 명당 6.8명의 발생율을 보이고 있다. 난소암이 무서운 이유는 별다른 선별검사가 없고 복통이나 소화불량 등 비특이적인 증상을 동반해 조기 발견이 어렵다는 것이다. 자궁경부암의 경우 건강검진과 예방백신이 보급되면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지만 난소암 환자는 증가하고 있다. 김철중 건양대병원 산부인과 교수의 도움말로 난소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난소암이란= 난소는 자궁의 양측에 위치한 두 개의 작은 생식 기관으로, 월경주기에 따라 배란 및 여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장기다. 난소에는 여러 종류의 종양이 생길 수 있으며 다른 장기에 생긴 암이 난소로 전이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난소암은 암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상피세포암, 배세포종양, 성삭기질종양으로 구분된다. 이중 난소표면의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난소 상피세포암이 전체 난소암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난소암의 원인과 증상= 주로 50-70대에서 호발하는 난소암은 발생 원인이 확실하지는 않지만 위험인자로는 가족력, 불임이나 출산하지 않은 여성, 초경 및 폐경의 연령, 식습관 등이 연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산경험이 없는 여성에게 발생률이 높고 많은 아이를 출산한 여성에게서 빈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때문에 배란을 억제하는 과정이 난소암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외에 환경적인 요인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소암은 대부분 초기 증상이 없거나 모호하다. 자각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조기진단이 어렵고, 환자도 난소암이 커지면서 배가 더부룩해지거나 소화가 잘 되지 않으면 암을 의심하기보다 내과를 찾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확실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난소암의 70% 이상이 3기 이상의 진행 상태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난소암이 초기에 발견되는 경우는 초음파 검사나 진찰 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질병이 진행된 이후에는 복수에 의한 복부팽창, 복부통증, 잦은 소변이나 변비 등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진단 및 검사= 난소암의 확진은 수술 중 얻어지는 조직검사를 통해 이뤄지지만 수술진행 이전에 난소암이 의심되는 병소가 있는 경우, 질병의 진행정도와 주변 기관으로의 전이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한다. 처음 진료 시에는 우선 질식 초음파를 시행해 종양의 외형적인 모양이나 크기 등을 확인하며, 난소암에 대한 민감성을 가진 종양표지 혈액검사(CA-125)를 시행하게 된다. 이후 질병의 진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MRI를 포함한 영상진단과 내시경 검사 등을 시행해야 한다. 난소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검사법은 존재하지 않고 있어 선별검사로서 골반내진, 종양표지 혈액검사, 질식 초음파 검사 등 방법을 병용하는 접근법이 가장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난소는 대장 및 직장과 밀접한 위치에 있으므로 암세포 침입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직장 내로 직접 내시경을 투입, 직장내부를 관찰하고 필요 시 조직검사도 시행할 수 있다. 간혹 난소의 악성종양이 소화기계(위, 대장 등)의 병소와 동반돼 있는 경우가 있어 위내시경 등의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게 된다.

◇난소암의 치료= 난소암 치료로서 가장 기본이 되는 수술은 자궁절제 및 양측 난소, 난관절제술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난소암 진단 후 우선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이때 양쪽 난소를 모두 제거하는 이유는 암이 양쪽 난소에 동시에 발병하는 빈도가 높고 비록 육안으로 정상으로 보이는 난소도 수술 조직검사 결과 암전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자궁의 장막과 내막도 잠재적 전이 장소가 되기 때문에 동시에 자궁내막암의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경우 자궁 적출술을 함께 시행하기도 한다. 난소암의 정확한 진행정도의 확인을 위해서는 복강 내 림프절이나 복막에 있는 대망을 함께 절제하기도 한다. 진행된 병기의 난소암에서는 종양의 크기가 매우 크며, 복강 내 장기와의 유착이 심한 경우에는 종양 전체를 제거하지 못하고 잔존병소가 남아있게 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최대한 많은 종양을 제거하는 것이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준다.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