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에 가면 작품을 어떻게 감상해야 할지 알고 모르고를 떠나 사람들이 하는 말이 "먹 색이 너무 검지? 아니면 참 맑다"라고 평 한다. 먹이 당연히 검은 색인데 왜 검다고 핀잔 하며, 무엇이 맑다고 감탄 하는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검다는 것은 일정한 선의 굵기와 공간 분할, 필세(筆勢)및 기운(氣韻)이 없이 시커먼 먹칠만 보이는 것이다. 맑다는 것은 골육(骨肉)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다양한 선질이 자유롭고 넉넉한 공간에서 생동하는 기운이 느껴지는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운필(運筆) 수련 정도의 차이다. 운필의 원리를 모르면 아무리 좋은 먹을 갈아 써도 마찬가지다. 좋다는 송연묵(松烟墨)에 유연묵(油煙墨)을 섞는다 든지 현묵(玄墨)과 청묵(靑墨)을 함께 갈거나, 아니면 묽게 하는 실험을 해봐도 결과는 큰 차이가 없다. 그렇다면 이 난관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선뜻 시원한 답은 없다.

조선 후기 서화가인 이광사(李匡師)는 집필과 운필법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우리나라 글씨는 붓을 잡는데 단점이 있어 종이가 붓 끝을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흘낏 보기만 해도 먹의 밝고 어두움을 알아 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는 붓이 종이와 밀착되지 않고 미끄러짐을 안타까워 한 말로 붓이 종이 뒷면을 파고드는 듯 한 투과지배(透過紙背)의 중요성을 이른 셈이다. 이를 도장을 인주에 찍듯 하는 인인니(印印泥), 또는 쇠꼬챙이로 모래를 긋는 추획사(錐劃沙) 등으로도 표현한다. 이것은 붓과 종이가 밀착되지 않아 미끄러져 들뜸을 막을 수 있는 비법이다.

나도 이 문제를 풀기위해 무던히 노력하였다. 한 가지 터득한 점은 길고 부드러운 붓이 송곳처럼 지면을 파고들듯이 운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깨우침을 주변에 권해 보았지만 이해하는 듯 하지만 실천하지 못함을 보고 안타깝게 여기곤 하였다. 부드럽고 긴 붓을 곧추세우기 어려웠는지 다시 짧고 강한 붓을 잡는 경우를 더러 보았다. 하지만 이법을 숙지(熟知)하고 나면 어떤 종류의 붓이든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 운필법은 꼭 터득해야 한다. 물론 과정이 쉽지는 않다. 쉬우면 누구는 못하겠는가? 어려우니까 해결해야 하고, 그렇게 되면 먹빛은 달라진다. 그래서 옛 어른 들이 붓 세우기가 어렵다고 하였고, 붓을 세울 줄 알아야 글씨가 됨을 누누이 강조하였던 것이다.

다음은 점획과 포백(布白)이다. 점획의 굵기와 크기를 달리해서 단조로움을 면하고 골육의 균형을 맞춘 외강내유(外剛內柔)가 아닌 외유내강(外柔內剛)의 선질로 너그러운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이렇게 되면 먹 색과 글씨가 조화되면서 융화력이 생겨 부드러우면서도 강한 기운이 생동하게 된다. 먹은 사려(思慮)의 깊이와 숙련 정도에 따라 한 색이 만 색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먹색은 현색(玄色)외에 청색(靑色) 또는 주색(朱色)도 있는데 왜 검은 색을 중시하는가? 노자는 "검고 또 검으니 모든 묘의 문이다(玄之又玄 衆妙之門)"라 했다. 왜 현이 중묘지문인가? `혼돈(混沌)`이기 때문이다. 도가(道家)에서는 혼돈은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 같지만 만물이 생성된다고 말한다. 이는 곧 아무 일도 하지 않는 듯 함 속에서 쉬지 않고 작용을 한다는 의미이다.

유가(儒家)에서도 형상이 없으나 도리(道理)인 이기(理氣)가 있어서 이들의 작용에 의해 만물을 생성하는 것을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이라 한다. 아무 작용도 하지 않는 듯 하지만 만화(萬化)하는 현(玄)은 색 중에 으뜸이며 모든 색을 포용하기도 한다. 마치 바다는 온 만 가지가 다 들어와도 항상 거부함 없이 받아들이고 용해하여 쪽빛을 발하듯, 빨·주·노·초·파·남·보를 한 통에 넣고 뒤섞으면 현색이 된다. 먹으로 쓴 오래된 좋은 작품일수록 고색창연(古色蒼然)하다. 이것은 어디서 나오는가? 작가의 가슴에서 비롯된다. 호연지기(浩然之氣)를 함양(涵養)하여 맑은 먹빛을 발휘해 보자. 송종관 서예가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