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이 환하다. 맑은 가을 밤하늘에 둥두렷한 보름달을 바라보는 얼굴도 둥글고 환하다. 과일도 달처럼 둥글게 익었다. 보름의 어근이 `볼`이라서 볼 오른 얼굴을 달덩이 같다고 하는가. 그리운 사람의 얼굴과 고향이 떠오르기 때문에 달을 바라보며 사람들은 말이 없는가. 남북으로 나뉜 혈육들은 올 가을에 누리를 환하게 비추는 달을 보며 느끼는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제주 신화 `천지왕 본풀이`에는 해와 달이 두 개씩 떠 있어 낮에는 너무 덥고 밤에는 매우 추웠는데 천지왕의 작은아들 소별왕이 간청해서 큰아들 대별왕이 활을 쏘아 해와 달을 떨어트려 각각 하나씩 남게 되었다고 한다. 지난 여름에는 해가 하나 더 생긴 것처럼 사람들은 극심한 무더위에 시달렸지만 이제는 청량한 달밤에 이런저런 기억을 식히고 있을 것이다. 언제 더웠나 싶을 정도로 조석에 제법 찬바람이 불어 계절의 변화를 실감한다.

달은 수천 개의 강에 나뉘어 떠도 한결같아 진리가 보편함을 나타낸다. 우리는 음력에 맞춰 농사를 짓고, 달의 운행을 삶의 원리로 삼아 살고 있다. 달은 차고 기울기를 되풀이한다. 그 변화가 생체 주기와 일치하고 생산력을 상징하기에 달을 보며 풍요를 꿈꾸고 인생무상을 받아들이고 재생과 영생을 믿는 사람들은 비손할 때 천지신명과 일월성신을 부르기도 한다.

우리 조상들은 민화나 산수화에 달을 즐겨 그렸고 달빛으로 항아리를 빚었다. 맑고 서늘하고 은은한 달빛은 만인 만물과 조응해 시정(詩情)을 불러일으킨다. 대전 오류동에 살던 박용래 시인은 `월흔`이 `창호지 문살에 돋는`다고 표현했다. 이효석 소설가는 `메밀꽃 필 무렵`을 통해 달빛에 젖은 인연과 삶을 그윽하게 묘사했다. 이문구 소설가는 달빛이 거실 바닥에 그린 묵란도에 감탄하며 그런 조화를 모르고 잠든 사람들을 안타까이 여겼다.

백제가요 정읍사는 달에게 간절히 기원하는 노래다. 지금도 누구는 `달하 노피곰 도닥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고 임의 안녕을 빌 것이다. 신앙은 서로 달라도 환한 달을 보며 저마다 소원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심정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으리라. 권덕하 시인(문학평론가)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