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사, 그루매니저, 산림치유지도사, 수목장림코디네이터... 다소 생소한 이 직업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하나는 숲에서 창출되는 일자리이고, 또 하나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유망직종이라는 것이다.

귀농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귀산촌 인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청·장년층 비중이 50%를 넘어서면서 숲에서의 일자리에 대한 관심 역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수요에 부합하는 다양한 일자리들이 속속 발굴되고 있다.

숲에서의 일자리는 그 시대적 상황과 요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창출되어 왔다. 1970년대 황폐했던 민둥산을 푸른 산림으로 복원할 때는 조림사업에 많은 인력이 투입됐다.

나무들이 점차 자라나서 목재로서의 가치가 생겼을 때는 산림자원을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고자 산림생명산업과 바이오산업, 해외산림자원 개발 등과 같은 산업에서의 일자리 확대로 이어졌다.

2000년대에 들어서 유럽국가의 경우 어반포레스터(도시숲전문가 : Urban forester)와 같이 도시와 환경, 휴양과 문화까지 아우르는 산림일자리가 생겨났고, 일본의 경우도 녹색일자리 사업으로 현장기능인을 육성해 임업분야에서의 청년 취업이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주 5일 근무제 정착과 여가시간의 증가로 국민들의 산림에 대한 수요가 변하고 있다. 목재와 청정 임산물과 같은 재화뿐만 아니라 휴양, 교육, 치유, 레포츠, 문화 등 다양한 유·무형의 서비스에 대해 제공받기를 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해 풍요로운 숲을 통해 국민 건강을 증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산림복지라는 개념이 대두되었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산림복지전문가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국민들이 숲에서 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산림복지전문가 양성기관에서 전문과정을 이수한 사람으로서 산림치유지도사, 숲해설가, 유아숲지도사, 숲길등산지도사가 있다.

정부에서는 이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 및 민간시장 활성화 위해 숲해설, 산림치유 등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영업의 수단으로 하는 `산림복지전문업 등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현재까지 창출된 민간 일자리는 사업체로는 총 370개, 고용된 산림복지전문가는 2400여명에 달한다.

전통 임업에서부터 산림복지서비스까지, 이처럼 다양한 일자리가 발전할 수 있는 밑거름은 결국 울창한 숲, 드넓은 산림이다. 나무 대신 숲을 보라는 말이 있지만, 사실 숲에는 나무 외에도 많은 것들이 있다.

이와 같이 숲이 가진 다양한 잠재력 덕분에 관련 일자리도 점점 증가하였다. 결국 숲은, 더 많은 일자리를 가져다주는 일자리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다. 윤영균 한국산림복지진흥원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