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규모와 청년실업률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으로 치달은 현실은 일자리 중심의 고용행정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자가 유독 많아 이중고를 겪는 대전지역은 말 할 것도 없다. 취업에 어려움이 큰 청년이나 여성·중장년들에게 맞춤형 취업지원이 절실한 시점이건만 대전에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1곳에 불과하다니 제대로 된 일자리 알선이 이루어질지 의구심이 드는 게 무리가 아니다.

대전시 고용센터는 과거 동부와 중부, 유성을 포함 모두 4곳이 운영됐지만 2006년 고용센터 통합 이후 1곳으로 줄어 현재까지 12년째 그대로다. 반면 전국의 고용센터는 2014년 10개소에서 확대돼 현재 100여 개소나 된다. 대전 보다 인구가 적은 광주만 해도 2곳이 운영 중이고, 대구에는 5곳이나 있다. 대전의 경우 관내 5개 자치구 이외에도 금산군까지 아우르는 실정이고 보면 확대를 요구하는 민원인들의 목소리를 한 귀로 들어서는 안 된다.

고용센터는 고용노동부 산하로 고용과 복지, 서민금융 등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공공기관이다. 실업급여와 취업성공패키지, 직업훈련 등으로 일자리 알선에 나서는 건 물론 기초생활보호나 의료비 지원, 아이 돌보미 등의 상담 및 신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업을 전개한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여러 지원금을 지급해 경영에 도움을 주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대전에 단 1곳 뿐이어서 고용취약계층으로선 기대 만큼의 지원을 받기 어렵다.

최악의 고용 쇼크가 닥쳐온 상황을 반영해 대전 시세에 맞게 고용센터를 늘리는 게 옳다. 먼 곳을 오가야 하는 교통 불편도 그러려니와 민원인들이 넘치다 보니 양질의 서비스를 제 때 알차게 받을 수 없다는 하소연이 나온다. 출범 취지에 맞춰 원스톱으로 수요자 중심형 융합서비스를 펼치려면 도시 규모에 맞는 하드웨어 구축이 먼저다. 일자리 알선에 근본적 한계가 있는 현재의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는 고용 절벽 탈출은 언감생심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