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팔도유람]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영주동 근대한옥=전설이 전해오는 한옥으로 1920년대 신축돼 별채만 볼수 있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동 근대한옥=전설이 전해오는 한옥으로 1920년대 신축돼 별채만 볼수 있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경북 영주시, 요충지다보니 먼저 들어선 게 많았다. 철도 중앙선과 영동선이 깔리자 역이 중심지로 돋보이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몰렸다. 역 주변에 시장이 섰다. 곡식을 빻는 정미소가 생겼고, 모던보이들의 헤어스타일을 책임지는 이발관이 자리잡더니 교회가 반석 위에 신앙의 증거를 세웠다. 자원과 자본의 발달상, 문화의 전개상을 멀리서 찾을 것도 없다.

개중 여태 살아남은 것들 중 일부가 `근대문화유산`이란 훈장을 달았다. 근대역사문화 엿보기에 도움된다며 문화재청이 `기억소생제`로 인정한 것이다.

영주, 평지다. 북쪽의 소백산이 병풍처럼 막아주고 남쪽으로는 안동까지 열려있다. 문득 근대문화유산들을 `산책코스로 삼아보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근대역사문화거리

드디어 들어선 근대역사문화거리. 한국전쟁과 개발논리에도 살아남은 건물 6채가 근대역사문화거리의 주축이다. 영주역 관사 2곳, 근대한옥, 이발관, 정미소, 교회가 각 1곳이다. 모두 영광중학교 반경 200미터 남짓에 들어온다.

먼저 1940년대 건립된 우기섭(81) 옹의 `풍국정미소`다. 풍국정미소의 처음이자 끝은 도정기계다. 목재 구조다. 먼지가 내려앉은 게 수년간 영업을 하지 않은 듯했다. 2009년에 마지막으로 영업을 했다는 보도도 있으나 우 옹은 "2년 전 마지막으로 기계를 돌렸다"고 했다. 영업은 2009년에 끝내고 2016년에 점검차 돌려봤겠거니 짐작했다.

"1966년부터 내가 영업했다. 80kg 1가마를 도정해주고 2되(3.6리터로 3.6kg에 근접)를 현물로 받았다. 정부에서 정해준 대로 받았다. 1980년에 영주시내에 정미소가 11곳 있었는데 우리 집에서 80%를 처리했다. 하루에 많이 하면 80가마씩 했다. 1시간에 8가마 정도. 그런데 요즘 농협에서 돌리면 1시간에 35가마를 한다. 경쟁 상대가 안 된다."

영주시는 이곳을 양곡 가공과 곡물 유통을 주제로 산업문화관, 쌀카페, 도정 참관 및 판매장으로 활용하면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만 하고 있지 시설은 없다. 일부에서 이런 시설이 있는 것처럼 해뒀는데 아직은 없다.

영광중학교 정문 왼쪽에 `영광이발관`이 있다. 1930년대부터 지금까지 한 가지 목적으로 지금까지 활용된 것이 특이점이랄까, 건물 자체는 그냥 그런 건물이다. 노포인 것만은 확실했다. 이발관 문턱을 넘자마자 포르말린 냄새가 확 끼쳐왔다. 소독 용도였는데 일시적 후각마비는 소독의 부작용이었다. 이발사 이종수(74) 옹은 이곳에서 49년째 생업을 잇고 있었다.

"그 전에 하던 사람이 있었지. 내가 이 자리에 온 게 1970년이거든. 요 앞전에 시온, 국제 뭐 이름은 여러 번 바뀌었어. 손님 맞는 거야 안 변했지. 옛날 방식으로 이발하고 면도하고 세발(머리 감기)하고 있지. 건물 주인은 따로 있어."

광복로에서 북쪽으로 나있는 길로 향했다. `관사골`이 이내 나온다. 관사골이라고 가르쳐주지 않아도 알 수 있을 만큼, 집들을 틀에 맞춰 찍어낸 느낌이다. 1호 관사도 남아있지만 원형 보존 등을 감안해 5호와 7호가 등록문화재로 추천됐다. 일제강점기 때 지은 건물로 일본식 관사주택의 전형이라고 한다. 창이 바깥으로 튀어나온 점, 시멘트 기와 지붕이라는 점이 외관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전부였다.

영광중학교 서편 길 아래 `영주동 근대한옥`이 있다. 영주문화원에 따르면 거의 전설에 버금가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조선 명종 때인지, 선조 때인지 명확하지 않으나 임진왜란 전에 명나라 황제가 어머니의 병을 고친 의원 이석간에게 보답으로 99칸 본채와 여러 채의 별채를 지어주었다고 한다.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별채인데 그마저도 1920년에 신축한 거라고 한다. 영광중학교 서편 길 아래 텃밭에 웅크린, 매우 낡은 지붕이 두드러지는 집인데 사람이 살고 있다.

1958년 준공된 `영주제일교회`는 더 이른 시기에 준공된 안동예배당과 건축 양식 등이 닮은 듯하다. 1954년 5월부터 교회 신도들의 노역 봉사가 더해져 이들에게 더 의미있는 성전이라고 한다.

◆걷기 좋은 영주

영주세무서 옆 옛 영주도서관을 출발지로 삼았다. 옛 영주도서관에선 보물급 문화재가 맞아준다. 통일신라 중기, 그러니까 서기 800년대 즈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 60호 `영주동 석조여래입상`이다.

고개를 조금 더 오른쪽으로 젖히자 고택이 지붕만 살짝 보여준다. `삼판서고택`이다. 말 그대로 3명의 장관급 인물이 난 집이다. (고려시대 형부상서를 지낸 정운경, 공조전서를 지낸 정운경의 사위 황유정, 그리고 황유정의 외손자 김담이 조선의 이조판서에 오르면서 삼판서가 완성된다.)

그런데 안내판에는 조선 개국 공신인 `정도전 생가`라고 돼 있다. 도담삼봉 등으로 스토리텔링에 심혈을 기울인 옆 동네, 충북 단양에서 알면 펄쩍 뛸 것 같았는데 이미 알고 펄쩍 뛰었다고 한다.

좋은 터에 집이 있어서 삼판서가 나왔나 싶지만 원래 터는 이곳이 아니었다. 다음 코스로 가게 될 구성공원 동쪽에 있던 고택은 1961년 사라호 태풍 때 유실돼 이곳에 새로 지은 것이었다.

그래서 삼판서고택 뒤에는 1962년 당시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지시로 수해를 복구한 것을 기념해 심은 나무와 설명판이 있다. 안타깝게도 이것 역시 1962년 당시 심은 나무냐 아니냐로 이견이 분분하다고 한다.

서천 둔치를 따라 달려도 좋겠다 싶었지만 시내 방향인 동쪽으로 향한다. 영주시내로 오가려면 한 번쯤은 마주친다는 중앙선 지하도를 지났다. 구성마을이라는 곳이 나온다. `거북이성`이란 뜻이다. `불바위`를 대표로 거북이 등껍질 같은 기암들이 마을 한가운데 다닥다닥 올라 서 있다. 한신협 매일신문=김태진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풍국정미소= 1940년대 건립된 `풍국정미소`. 목재로 만든 도정기계는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풍국정미소= 1940년대 건립된 `풍국정미소`. 목재로 만든 도정기계는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풍국정미소= 1940년대 건립된 `풍국정미소`. 목재로 만든 도정기계는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풍국정미소= 1940년대 건립된 `풍국정미소`. 목재로 만든 도정기계는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제일교회=1954년 5월부터 교회 신도들의 노역 봉사가 더해져 1958년 준공됐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제일교회=1954년 5월부터 교회 신도들의 노역 봉사가 더해져 1958년 준공됐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역(驛) 관사=역무원들이 이용하던 관사로 일제강점기 때 지은 건물로 일본식 관사주택의 전형이다.관사와 관사사이에는 담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역(驛) 관사=역무원들이 이용하던 관사로 일제강점기 때 지은 건물로 일본식 관사주택의 전형이다.관사와 관사사이에는 담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역(驛) 관사=역무원들이 이용하던 관사로 일제강점기 때 지은 건물로 일본식 관사주택의 전형이다.관사와 관사사이에는 담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주역(驛) 관사=역무원들이 이용하던 관사로 일제강점기 때 지은 건물로 일본식 관사주택의 전형이다.관사와 관사사이에는 담장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광이발소=1930년대부터 옛날 방식으로 이발하고 면도하고 세발(머리 감기)하고 있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영광이발소=1930년대부터 옛날 방식으로 이발하고 면도하고 세발(머리 감기)하고 있다.매일신문 이채근 기자
삼판서고택=말 그대로 3명의 장관급 인물이 난 고택으로 유명하다.
삼판서고택=말 그대로 3명의 장관급 인물이 난 고택으로 유명하다.
거북성=거북이 등껍질 같은 기암들이 마을 한가운데 있다.
거북성=거북이 등껍질 같은 기암들이 마을 한가운데 있다.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