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산바` 이후 6년 만에 한반도를 관통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풍 `솔릭`에 대한 우려가 이만저만 아니다. 내일 낮 충남 태안반도 인근으로 상륙해 중부지방을 가로지를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하겠다. 예상 경로가 다소 유동적이라지만 많은 비와 강한 바람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폭염이나 가뭄 해소 기대감 보다 태풍이 미칠 피해를 단단히 경계해야 할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예정된 17개 시도지사와의 간담회를 취소한 것도 태풍 대응 차원이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말 시도지사와의 만찬 간담회를 연기한 바 있어 부담이 적지 않았음에도 태풍 피해 방지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했음직하다. 청와대의 설명대로 지역 재난대응의 책임자인 시도지사들이 태풍 대응에 만전을 다할 때 피해가 최소화된다. 사상 최악의 폭염으로 농작물이 고사하는 등의 피해가 천문학적으로 늘어난 상황에서 솔릭이 엎친 데 덮친 격이 돼선 곤란하다.

재해대비 비상근무 체계에 들어간 지방자치단체들이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 금강을 비롯한 충청권 관내 주요하천의 홍수 대응 모니터링과 위험 단계별 예·경보 발령시스템을 철저하게 점검할 일이다. 상습 침수지와 배수불량 예상지 등의 시설물에 이상은 없는 지 살피고, 보강할 것은 서둘러 보강하기 바란다. 민선 7기 자치단체장들의 능력이 태풍 대응에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솔릭`이 2010년 발생한 태풍 `곤파스`와 유사한 점을 참고할 만하다. `곤파스`는 서해를 통해 북상해 경기 북부를 통과하면서 사망 6명, 부상 11명 등 17명의 인명 피해를 냈다. 재산피해는 1761억 원에 달했다. 당시 출근이나 등교시간 조정 같은 실질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서 피해를 키웠고, 강풍으로 인한 붕괴 및 날림과 정전 등의 사태가 속출했다. 실패한 사례에서 교훈을 얻어야 자연재해를 인재(人災)로 키우지 않는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