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의 청년 일자리 정책 윤곽이 나왔다. 어제 열린 연구용역 보고회를 통해서며 오는 2021년까지 3년간 청년 일자리 5만 개 창출을 목표로 잡고 있다. 방법론 격인 5대 정책 과제로 창업 활성화, 혁신 취업 경쟁력 강화, 충남형 사회적경제, 고용 서비스 확충, 지역 네트워크 활용 등이 제시됐다. 도는 이를 토대로 적절히 살을 붙여 단위 정책을 완성해 추진해 나갈 방침이라고 한다.

이번 연구용역 보고 내용은 민선 7기 충남도 청년 일자리 정책의 설계도이자 나침반의 성격을 띤다. 용역수행 기관에서 이렇게 저렇게 하면 정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증`도 서 주었다. 나아가 충남지사 `양승조 브랜드`로 출시되는 청년 일자리 정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잘 진행되면 도지사로서 역량을 증명하는 동시에 도민 지지도까지 덤으로 상승할 것이고 엇나가게 되면 소요 재원으로 책정돼 있는 예산 1000억 여원을 날릴지도 모른다. 물론 길고 짧은 것은 대봐야 안다. 우려 섞인 전망이 기우임이 확인된다면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이며 이번 충남도 청년 일자리 정책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정책적으로 성공을 거두기를 바라는 마음이 크다. 다만 청년 일자리 정책이 숫자논리에 매몰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게 현명할 듯하다. 물경 일자리 `5만 개` 창출을 목표점으로 삼는 것이야 좋지만 이 숫자를 충족시키려는 데 급급하다간 여러 편법과 눈가림하고 싶은 유혹에 빠고 들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굳이 숫자와 씨름하려 하지 말고 내실을 다져야 궤도이탈의 우를 범하지 않는다.

일자리 정책은 까다롭기 이를 데 없다. 작금의 `고용 쇼크`로 정부 차원에서도 쩔쩔맬 정도이므로 지방정부에서 쉽게 덤빌 정책과제로 여기면 낭패에 빠지기 십상이다. 그럴수록 걸음을 재촉하기 보다 거점 기업 유치 및 관광, 레져 분야 특화 등 지역경제의 기초체력을 튼실하게 할 수 있는 방략에 대한 고민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