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염에 가뭄까지 겹치면서 농작물 피해가 갈수록 불어나고 있다. 고온으로 인해 농작물이 화상을 입거나 가뭄으로 인해 말라죽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충청지역엔 한 달 넘게 비다운 비가 내리지 않는 바람에 농작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어제 기준 충남도내 농업용 저수지의 평균 저수율은 45.8%를 기록했다. 전국 평균(52.4%) 보다 낮은 것도 문제지만 평균 저수율 50% 이하면 당장 급수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저수율 30.1%인 예당저수지는 도수로를 통해 금강물을 받고 있지만 19.2%인 대호호는 이달 말까지 비가 오지 않으면 고갈이 불가피하다.

충북지역도 심각하긴 마찬가지다. 7월 이후 지금까지 도내 누적강수량은 평년의 11% 수준에 불과하다. 1973년 이후 가장 적은 기록이다. 도내 761개 저수지의 평균저수율은 59%를 나타내고 있다. 작년 같은 기간 90%에 비해 31%나 떨어졌다. 토양의 수분 부족으로 인삼, 콩, 고추 등 밭작물이 말라죽는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어제까지 서산, 금산, 홍성 등 충남도내 농작물 피해면적은 334ha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북은 이보다 많은 460ha를 기록했는데 이는 폭염피해가 발생했던 2016년 250ha의 두 배 가까이 된다. 가뭄이 길어지면서 밭작물뿐 아니라 논농사에도 비상이 걸렸다. 논바닥이 갈라지고 익어야 할 벼가 누렇게 말라죽고 있다.

충남도는 봄 가뭄 이후 중단했던 용수공급 상황실을 재가동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충북도 역시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나 애로가 적지 않다. 가뭄의 직접피해는 농민이지만 작황부진으로 인한 후유증은 전 국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당장 추석을 한 달여 앞두고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뜀박질을 하고 있다. 다른 물가에도 영향이 우려되고 있다. 폭염과 가뭄은 자연재난이다. 지자체에만 맡겨놓을 게 아니라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