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지지율이 지난 대선 이후 1년 4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인 40.6%를 기록했다는 한 여론조사 결과가 어제 발표됐다. 집권여당이 된 후 최저치를 찍은 것이라고 한다. 해당 여론조사 업체 측은 "6·13 지방선거 이후 특히 진보층과 중도층에서 크게 이탈했다"며 "이탈 지지층 대부분은 정의당이나 무당층으로 이동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한때 50%대에 육박했던 민주당 지지율이 하락세에 접어든 것은 수상한 조짐이다.

집권여당이 40%대 지지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 나쁜 성적은 아니다. 2위 지지율을 보인 한국당이 20% 벽을 깨지 못하고 있는 데다 정의당을 뺀 나머지 정당들의 민망한 수준의 지지율과 비교하면 그래도 도드라져 보이는 게 민주당 지지율이다. 하지만 예상하건대 40%선에 턱걸이하고 있는 민주당 지지율의 경우 힘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현실을 부정하기 어렵다. 여러 사유를 꼽을 수 있다. 우선 그동안 민주당 지지율 강세는 대통령 지지율 고공행진에 따른 후광효과를 입은 측면이 크다. 스스로 뭘 잘해서 라기 보다 대통령 지지율에 얹혀 덕을 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지지율 구조는 취약성을 띠기 마련이다. 대통령 지지율이 떨어지면 여당도 예외일 수 없기 때문이며 이번 여론조사 결과는 그 점을 일깨워준다. 게다가 일련의 정부 정책에 대한 민심 저변의 기류도 거칠다. 당장 국민연금 개혁 문제만 해도 한바탕 난리가 났고 민주당으로선 `뇌관`이 아닐 수 없다. 최저임금 문제도 밑바닥 정서가 사납고 설상가상으로 폭염 속 전기요금 찔끔 인하 정책으로 점수를 벌기는커녕 까먹는 우를 범한 민주당이다.

취업난, 자영업 생태계 교란 등 경제정책 각론을 하나하나 열거하면 집권여당은 매를 버는 입장에 있다. 민생 경제와 관련해 여당에게 기대되는 대안이 빈약하면 지지율 곤두박질은 불가피하다. 이럴 때일수록 당·정·청 관계에서 여당 우위의 정책적 중심을 다잡을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