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자식작용 개시단계 기작 규명

왼쪽의 그림은 ATG101(노란색)과 ATG13(진홍색)이 결합된 구조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ATG101의 카르복시-말단으로 알파-나선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단백질 결정 내에서 다른 ATG13과 마주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왼쪽의 그림은 ATG101(노란색)과 ATG13(진홍색)이 결합된 구조다. 초록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ATG101의 카르복시-말단으로 알파-나선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오른쪽 그림에서와 같이 단백질 결정 내에서 다른 ATG13과 마주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자료=한국연구재단 제공
세포는 자신이 가진 단백질과 구조체를 분해시켜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다. 자식작용(autophagy, 스스로를 소화시키는 기작)이라 불리는 이 현상은 불필요한 미토콘드리아 등을 분해하거나 분해산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등 생명 활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자식작용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세포가 노화나 병원성 세균의 감염 등에 의해 빠르게 세포 죽음이 유발된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그 이유는 아직까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국내 연구진이 그 비밀을 한꺼풀 벗겨내 관심을 모은다.

한국연구재단은 송현규 교수(고려대학교) 연구팀이 자식 작용에 관여하는 단백질 복합체의 상호작용과 여기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규명했다고 13일 밝혔다.

세포 내 노폐물을 청소하고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등 외부 침입자를 제거해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식작용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 및 암 발생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식작용은 크게 개시, 확장, 성숙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확장과 성숙 단계는 신호전달이 단순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개시 단계는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신호전달 체계가 복잡해 구체적인 기작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자식작용의 개시 단계에서 많은 단백질이 서로 다른 복합체(ULK1 복합체, PI3K 복합체)를 이루며 서로 신호를 전달할 때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ATG101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밝히고 이 단백질의 새로운 기능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인체의 ATG101-ATG13 복합체 단백질을 대량 생산해서 분리한 뒤 X-선 산란실험 및 X-선 결정학 방법 등을 통해 복합체의 구조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ATG101 단백질의 전체 구조를 알게 되었으며, 이 단백질이 자식작용에 관여하는 PI3K 복합체와 결합할 때 손상이 오면 신호 전달에 문제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송현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식작용 개시 단계 복합체 간의 신호전달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며 "앞으로 자식작용과 관련이 깊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이나 암 질환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