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대전역세권 개발을 위해 지역 상권과의 협약을 체결하면서 사업 정상 추진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10년이 지나도록 계획만 공허하게 나왔을 뿐, 실행에 옮겨지지 않았다. 그동안 인근 상인들과 교감을 이루지 못해 번번히 무산됐다. 하지만 사업 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지역 상인과의 협력 부분이 이번 협약에 따라 해소됐다는 점에서 개발 계획의 기대감을 높인다. 복합2구역을 토대로 대전역세권 개발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시는 관측하고 있다.

◇ 복합2구역 개발 사업은= 대전역세권 중 복합 2구역은 사업비가 1조 원 이상이 투입되는 매머드급 개발사업이다. 복합2구역 중 상업부지는 3만 2444㎡이며, 이중 코레일 소유는 2만 7740㎡로 86%에 달한다. 상업부지에는 판매·업무·문화 등 도심복합시설이 들어서 생활권 중심지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시는 최대 80층 규모의 건물까지 들어설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는 물론 쇼핑, 문화생활을 한 공간에서 즐길 수 있게 돼 대전역 주변 상권 활성화도 기대된다.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는 총 88만 7000㎡ 규모다. 대동천과 가까운 복합 1구역은 2만 8532㎡로 공동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이 들어선다. 대전역 동광장·서광장쪽 두 곳으로 나뉜 복합 2구역은 10만 6742㎡로, 판매와 업무, 문화시설 등이 입주할 예정이다. 3만 5490㎡의 3구역에는 판매와 업무시설과 함께 운수시설 일부가 예정돼 있다. 공동주택 등이 입주하는 삼성4구역(13만 2124㎡)도 포함돼 있으며, 58만 4112㎡는 존치관리구역이다.

대전역에는 2021년쯤 택시와 시내버스, 세종-대전 간 광역 간선급행버스체계(BRT) 승강장이 포함된 복합환승센터가 지어진다. KTX와 무궁화호 등 철도나 지하철과 연계 환승할 수 있어 도심 교통편의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격적인 사업개발과 함께 대전역 일대는 지역의 숙원사업인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시, 행정력 집중= 이 사업은 세 차례의 공모에 나섰지만 무산됐다. 시와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과 2008년, 2015년 복합2구역에 대한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으나 모두 응모한 기업이 없었다. 대전역세권개발 프로젝트를 공개하며 의욕적인 사업설명회 등을 개최했지만 나서는 사업자가 없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전국 대부분의 시도에서 역세권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전만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다. 가장 큰 이유는 민간사업자의 구미를 당기지 못했기 때문.

대전역세권 개발은 침체된 원도심을 살리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게 분명하다. 시의 원도심 살리기 계획도 역세권 개발이 담보되면 자연스럽게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번에는 무산되는 일이 없도록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번 계획으로 시는 대전발전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성기문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이날 기자실을 찾아 "경제성을 위해 해당 지역에 대한 도로 개설 등 편의를 도모했다. 또 최대 80층까지 열어뒀다는 점은 민자에게 큰 관심을 끌 것"이라며 "무산되는 사례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