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통계청이 밝힌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달 기준으로 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을 보유한 고학력 실업자수가 40만 명을 돌파했다고 한다. 1년 새 7만 6000명이 불어난 것으로 2000년 이래 가장 많은 수치에 해당한다. 전체 실업자 112만 1000명 가운데 대졸 실업자가 35.8%였고 전문대 졸업자를 합산하면 48.8%까지 치솟는다. 실업자 절반이 고학력 백수인 현실에서 지독한 고용시장의 한파를 절감케 된다.

대졸 실업자수 증가세는 우리 사회 전반의 고학력화가 빠르게 진행된 탓이라는 분석은 일면 타당하다. 매년 대졸자가 쏟아져 나오는 마당에 이들 모두가 취업시장에서 흡수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때 일정 비율의 미취업자 `잉여`가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없지 않다. 문제는 이들이 전체 실업자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는 점, 그리고 이대로 가다간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못하다는 점 등을 우선 꼽을 수 있다. 안 그래도 고용시장의 경직성이 악화일로에 있고 여기에 최저임금제 인상,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 등 정부정책도 고용시장을 얼어붙게 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지금은 대기업을 비롯해 중소기업, 서비스 업종 등을 불문하고 인건비 지출 요인부터 줄여가며 버티고 나오는 현실이고 그러다 보니 대학 졸업장을 쥔 젊은이들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인지도 모른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정부 당국의 일자리 정책은 빈약해 보이기만 하고 피부에 와 닿지도 않는다. 이른바 소득주도 성장론 기치 아래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시장 및 가계의 반응에 냉기가 흐르며 노동시장의 유연성 지수마저 떨어트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더해 공공, 민간 부문 할 것 없이 노동 관련 단체의 기득권이 공고해져 인력 순환을 가로막고 있는 현실도 직시할 필요가 있다. 대졸자 실업난은 발등의 불이 됐다. 국정 리더십 차원에서 비상한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