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에서 산업재해가 유독 많이 발생해 우려가 크다. 대략 열흘에 한번 꼴로 건설현장과 공장에서 중대 산업재해가 터지고 있다니 무슨 특별한 이유라도 있는지 의아하다. 최근에만도 한화 대전공장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3명이 사망하고, 6명이 부상을 입었다. 대덕특구 기초과학연구원 중이온가속기사업단 건설현장에서는 철근 구조물이 붕괴돼 건설근로자 4명이 다쳤다. 앞서 도로공사 대전-당진 고속도 보수 공사 중 근로자 4명이 추락사했건만 비슷한 재해는 되풀이되고 있다.

지난해 8월 관계부처 합동 `중대 산업재해 예방대책`이 발표된 이후 사업장 전면 작업중지 처분`이 내려진 게 대전 세종에서만 53건에 달한다. 10개월 동안 매달 평균 5건 넘게 작업중지가 됐으니 얼마나 재해가 빈발했는 지 알게 해준다. 안전불감증이 상당 부분 개선됐고, 공사 안전관리 기준이 크게 강화됐는 데도 현장은 달라지지 않았다. 사전 안전 점검과 관리 감독이 충분했는 지 다시 한번 짚어 보고, 작업 관행을 바꿔야 한다.

더구나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됐고, 장미철이 다가오고 있어 산업재해의 취약기다. 먼저 당국은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기조 아래 현장을 꼼꼼히 들여다봐야 한다. 대전에서 왜 후진적 재해가 반복되는 지 규명해 유사 사고 방지에 나설 일이다. 안전 관리를 허술하게 하는 곳은 없는 지 관리 감독하고, 원청업체의 책임을 강화해 하청업체들이 위험한 작업을 도맡는 일도 원천 차단하기 바란다.

사업 발주자나 현장 관계자들의 안전의식은 더 강조할 필요가 없다고 하겠다.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고위험 분야의 집중 관리와 더불어 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체계화하는 게 시급하다. 산업 재해는 노동자뿐 아니라 가족과 회사, 사회공동체 전체에 미치는 여파가 적지 않다. 당국과 사업발주자 등이 손잡고 재해 예방 노력을 활발히 전개해 봄직하다. 사고를 부르는 구조적 요인 제거와 함께 구시대적 관행을 고쳐 나가야 산업재해를 줄인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