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결과 새 인물들이 대거 당선됨에 따라 민선 7기 취임까지 행정 누수를 방지하는 게 과제로 떠올랐다. 임기가 7월 1일 시작되는 걸 감안하면 2주일 넘게 어정쩡한 시간을 맞게 된다. 퇴진하는 단체장과 취임을 앞둔 당선인이 인계인수 등을 고리로 협의를 해야 하는 등 사실상 `불완전 동거`를 해야 하는 시기라는 얘기다. 대전의 5개 구청 중 3곳의 단체장이 바뀌었고, 충남 역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지방권력 교체 폭이 크다는 점에서 행정 현장의 혼란과 공직자의 동요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대전시와 충남도의 경우 길게는 6개월 넘게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졌다는 점에서 시·도정을 조속히 본 궤도에 올려 놓는 게 화급하다.

아무래도 이목은 당선인들의 인수위원회 구성 여부에 쏠린다. 예비단체장의 인수위원회 운영은 법적 근거가 없다고는 하나 행정 공백을 최소화한다는 차원에서 적정 범위 내에서 가동해 봄직하다. 공약 재점검 같은 정책구상과 각 부서의 업무 파악에 이르기까지 당선인이 취임 전에 해야 할 일은 쌓여 있다. 전임자의 주요 시책을 깔끔하게 마무리하는 성격도 지닌다. 점령군처럼 군림하는 행태를 보이지 않는다면 소규모의 필수 인원이 참여한 가운데 실무형으로 꾸려볼 만하다. 원활한 인계인수는 지역주민들의 행정 편의와 각종 현안의 지속적인 추진을 위해서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조직 내 갈등을 해소하는 데도 주력해야 한다. 지자체에 따라서는 선거 운동과정에서 후보들이 맞고소·고발전을 벌여 적지 않은 후유증과 파장을 예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정 후보 줄서기와 공직자 줄세우기로 물의를 빚은 지자체도 없지 않다. 공직자들이 반목하고, 공직사회가 쪼개져서는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 몫이 되고 만다. 당선인과 전임 단체장이 앙금을 해소하고, 지역 발전을 위해 손을 맞잡아야 마땅하다. 두 사람이 협치와 화합의 정신을 발휘할 때 풀뿌리 민주주의 뿌리가 튼실해지고, 지방자치가 발전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