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자로 선정된 KPI가 지역 상생 방안을 제시했다. 본사를 대전으로 이전하고, 버스터미널 운영 인력 채용에 있어 지역민을 우선시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또 공사에 필요한 원자재를 대전에서 최대한 구매하고, 지역 건설업체의 하도급 비율을 최대 60%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내용이 눈에 띈다. 특히 인근의 지하철 1호선인 구암역과 터미널을 연결하는 지하연결 통로를 건설해 시에 기부채납 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하지만 사업의 정상 추진을 요구하는 여론에 밀려 시와 대전도시공사가 여러 특혜를 제공했음에 비춰볼 때 얼마나 많은 시민이 수긍할 지는 미지수다.

유성복합터미널 조성 사업은 2010년 3월 1차 사업자 공모 시점으로 보면 8년 만에야 겨우 물꼬를 텄다. 건설 의지를 보이던 대기업들이 막판에 잇달아 발을 빼자 결과적으로 사업자에게 특혜를 주면서 참여를 유도한 측면이 적지 않다. 건폐율과 용적율을 대폭 풀어준 게 대표적이다. 사업자 부담인 터미널 진입로 개설 역시 시가 직접 예산 150억 원을 투입했다. 최고 층수도 10층까지 허용하면서 오피스텔 분양이 핵심사업이 되도록 했다. 서북부권 주민 교통 편의 시설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는 명분이라고는 하나 특혜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된 이유다.

이런 점에 비춰볼 때 KPIH는 지역 상생 방안을 더 적극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을 내놓으라는 얘기다. 안 그래도 대규모 점포의 지역 기여도가 낮아 말들이 많은 상황이다. 대전 소재 3개 백화점의 경우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건만 지역상품 구매액은 쥐꼬리 증가에 그쳤고, 지역인력 고용 및 지역 업체 입점은 되레 뒷걸음질 쳤다. KPIH는 터미널 복합문화 공간 임대에 있어 지역 영세 상인들에게 우선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는 등의 지원 방안을 확대해야 마땅하다. 사업을 정상 추진하는 것 이상으로 유념해야 할 사안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