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15-19세 취업자는 18만 9000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7만 6000명(28.6%) 감소했다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가 어제 발표됐다. 이 연령대 취업자의 경우 작년 9월 한달 나아지다가 10월부터 감소세로 전환한 후 줄곧 마이너스 행진을 멈추지 않고 있다. 그것도 올해 3월까지는 일종의 심리적 마지노선이랄 수 있는 10%대에 머물렀으나 급기야 지난 달엔 30%에 육박하는 등 갈수록 태산인 형국이다.

해당 연령대 구간 취업자는 아르바이트 등 불안정 노동을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0명 중 7명 이상이 임시 일용직 근로자로 통계에 잡혀있으며, 업종으로 분류하면 도소매·음식숙박업(56.7%)에 몰려 있다. 그나마 이런 형태의 일자리마저 쪼그라들고 있다고 한다. 이 연령대마저 고용절벽 현상이 악화되고 있는 이유로는 최저임금 문제가 우선적으로 꼽힌다. 정부 당국은 `일부 영향`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모양이나 전문가 집단은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노동시장 경직성이 증가한 결과라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어느 쪽 설명이 설득력 있게 들릴지는 불문가지다. 이들을 일자리에서 배제시키고 있는 `시장` 탓을 하면 단견이다. 이들 인력을 활용할 수 있는 특정 업종·직군 입장에서 보면 영업 출혈을 감수하면서까지 고용을 유지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일시 고용 총량을 줄이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임시방편에 지나지 않는다. 임금 지출 증가분과 영업 이익의 갭은 생기게 돼 있고 이런 구조에선 소비자 물가 상승 압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만 심화될 것이다.

이번 통계치는 최저임금 문제가 저임금·저강도 노동현장을 필요로 하는 구직 기대층을 어떻게 직격하게 되는지를 엿보게 하는 살아있는 실증 지표에 다름 아니다. 사정이 이런 데도 소득주도 성장을 강조하는 것은 거북한 일이다. 당국은 높아진 `알바` 자리 진입 장벽이 던지는 메시지를 제대로 읽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