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아직 미완이다. "역사 속에서 일어났던 실제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38년 전 광주일대에서 일어났던 비교적 최근의 사건을 두고 다양한 시각이 공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그 시각은 진실의 규명과 무관하게 합일점을 찾기 어려운 대척점에서의 논리로 바라보는 이해와 설득으로 해소될 수 없는 상극성을 내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5.18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첫 번째는 당시 광주사태를 군을 투입해 무력으로 진압한 신군부 등 잠재적 신흥 정치세력이 보는 시각, 두 번째 시각은 당시 사건의 현장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한 광주 시민과 이들의 정치적 지향점이였던 민주세력이 보는 시각이고, 세 번째는 북한이 바라본 광주인민봉기(광주사태)에 대한 시각과 마지막으로 미국이 보는 시각을 대조 분석하면 미래에 내려질 평가의 방향성이 보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제기한 `시각`의 의미는 이 사건의 성격을 규정하는 내재적 판단 기준이 아닌 실존한 역사적 사건이 내포하고 있는 "이용가치를 판단하고 활용한 기준"을 의미함을 부언한다. 예를 들면 "위화도 회군"에 대한 이성계와 최영의 상반된 시각이 존재하였으나 역사는 조선건국의 단초를 제공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그렇다면 현존하는 다양한 "5.18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시각 가운데 어떤 시각이 사초(史草에) 기록될 것인가. 의미있는 사유(思惟)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언젠가 모든 진실이 규명되고 역사적 사실관계가 확인되는 순간, 보다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로써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대한 적확(的確)한 역사적 평가가 기록될 것이다.

첫 번째 시각은 1985년 9월 16일자 헤리티지 재단 아시아 연구센터에서 발행한 `남한의 광주사건 재조명`(south korea`s kwangju incident-revisited)은 "전두환 정권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광주사태를 강력한 도구로 활용했다" 라고 적고 있다. "전두환과 반대하는 사람들"이라는 극명하게 상반된 시각으로 존재하는 각각이 주장하는 역사적 진실은 무엇일까. 광주사태를 정권창출의 위화도회군으로 이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신군부는 "계엄확대와 신군부의 정권 장악"이라는 절차를 통해 노태우정권까지 집권세력으로 정권을 잡았다. 그들에게 광주사태는 어느 한 지역의 소요사태라는 시각에서 벗어나 있었다. 인의적인 작동이 아닐지라도 방관 내지는 소극적 대응으로 사태의 확산을 은연중에 기대(?)했거나 또는 이를 이용할 절호의 기회로 포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 "서울의 봄"을 계기로 정치적 세가 매우 미약했던 김대중의 막후 영향력이다. 4월 서울에서의 대학생들의 시위는 정점에 있었고 김대중의 연설이 기폭제가 되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김대중 석방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주장이 광주 민주화 운동의 추동력이 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만, 그러한 김대중의 정치적 행동들이 내란음모라는 신군부 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전혀 동의할 수 없다. 세 번째는 북한은 5.18광주 민주화 운동을 남조선 적화통일의 호기로 판단했을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의 시각은 1982년 `조국통일사`가 발행한 "주체의 기치 따라 나아가는 남조선인민들의 투쟁"이라는 북한의 대남공작 역사책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영웅적 광주인민봉기는 그 성격에 있어서 민주와 통일에 대한 남조선인민들의 한결같은 지향을 반영한 대중적인 애국적 항쟁이며 가장 높은 형태의 반파쑈민주화투쟁으로 된다"(596쪽 8-12줄) 라고 적고 있다. 네 번째 "광주사태는 한국정부가 죄 없는 전라도 도민을 학살할 의도와 목적아래 사전에 모의해서 만들어낸 사건이 아니며 미국이 게재된 사건도 아니다"라고 기술한 미 헤리티지재단의 "광주사태 재조명"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의 사건 개입 개연성을 희박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5.18광주 민주화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1980년 이후 어떠한 사건들이 일어났었는지. 되짚어 보면 보다 사실(史實)을 기록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헤겔의 변증법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역사도 생물이다. 따라서 그 시대 정신이 역사의 방향성을 결정한다. 문재인 정부 출범이 미완인 "5. 18광주 민주화 운동의 사실(史實)"을 규명하라는 국민의 요구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신군부의 상황논리나 북한식의 내재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사실(事實)에 근거한 사실(史實)을 규명하고 역사적 교훈으로 남기는 것이 이 시대를 사는 우리의 몫이라 생각한다. 문병선 서원대 융합보안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