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장 후보로 등록한 한국당 박성효·바른미래당 남충희 후보간 단일화 성사 여부가 오늘 중 판가름 날 모양이다. 단일화 협상은 지난 24일 후보 등록 후 박 후보의 전격적인 제안에 남 후보가 호응하고 나서면서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으며 28일 자정 시한으로 양측 실무진에서 협상이 한창이다. 협상 결과는 단일화 합의냐, 무산이냐 둘 중 하나다. 판이 깨지면 도리 없는 일이고 단일화에 성공할 경우에는 향후 전개될 선거 판세가 요동하는 상황을 상정해 볼 수 있다.

두 후보간 단일화 협상은 어느 한명의 출마 포기를 전제로 한다. 여러 사정을 두루 감안해 명분과 실리를 놓고 절충점이 찾아지면 일이 성사될 가능성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다만 디테일 부분에서 시각차를 좁히지 못하면 협상 시한에 쫓기는 국면으로 내몰리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단일화 협상에는 `리스크`가 따르는 법이다. 잘 되면 다행이겠으나 어긋나게 되면 갈등 전선만 넓혀버리는 격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결국 두 후보의 의지와 결심에 달렸다고 볼 수 있다. 비유하자면 정책적 가치와 방향성 등 면에서 두 사람이 경합했을 때의 실익과 하나로 합쳤을 때의 실익중에서 저울추가 기우는 쪽으로 수용할 준비가 돼 있으면 협상의 결과물이 나올 테고, 그게 여의치 않다면 각자의 기호를 달고 다자 경쟁 구도에 참여하는 수밖에 없다.

후보단일화는 수단의 성격을 띠는 것이지 그 자체로 합목적성이 내재돼 있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고 봐야 한다. 두 후보 진영에서 탈(脫)정파적 고민을 투사할 필요가 있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런 다음 단일화 진정성이 시민·유권자들 마음까지 닿아야 최종 단일 후보가 결정됐을 때 그에 대한 지지율 확장성이 따라오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권자 입장에서도 시장 후보군이 단순 압축되는 게 나을지 모른다. 후보간 비교우위 검증이 용이해지면서 아울러 `4년 시정`의 적임자 선택에 대한 오류가 줄어들 수도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