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어깨가 무거워졌다. 순항하던 남북 및 북미관계가 삐거덕 거리고 있기 때문이다. 남북고위급회담이 북한의 일방 통보로 불과 수시간전에 무산되고 비핵화에 대한 북미 간 갈등이 표출되고 있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압박 수위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문제는 당사자인 한국이 주도권을 갖고 풀어야 한다는 게 문 대통령의 `한반도 운전자론`이다. 22일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의 역할이 그만큼 막중해졌다고 할 수 있다.

북한이 갑자기 강경한 태도로 나온 것은 일종의 미국에 대한 경고이자 기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선 핵포기, 후 보상`을 내용으로 하는 `리비아식 해법`을 강요하는 미국에 대한 반발인 셈이다. 이는 북한이 "관계개선을 위한 진정성을 가지고 회담에 나온다면 우리의 응당한 호응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힌 점에서도 알 수가 있다. 드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갑작스런 태도변화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북한에 대한 일반적인 강요만 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비핵화 합의 시 체제 보장` `한국형 산업모델` 등을 언급한 것은 이 같은 맥락이다. 불필요한 오해부터 사라져야 정상회담의 성공도 가능해지기 마련이다.

이번 회담은 한미정상이 다음달 12일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무릎을 맞대는 마지막 자리다. 청와대도 문 대통령의 할 일은 "북미정상회담이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교역할"이라고 밝혔다. 비핵화에 대한 북한과 미국의 입장차를 좁히고 신뢰를 회복시키는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과 북미가 서로 대치하고 위협하는 상황으로 되돌아가선 누구에게도 이익이 될 수 없다. 모처럼 북미정상회담이라는 문턱까지 온 만큼 상생의 결론을 도출하는 게 중요하다. 문 대통령이 북미 간 중재자로서의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