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맥 자료사진.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부정맥 자료사진.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돌연사 원인의 90%는 부정맥(arrhythmia)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맥이란 정상 맥박이 아닌 심장박동 혹은 심장운동을 뜻한다. 심장박동은 동방결절이라는 조직에서 형성된 전기적 신호가 전달돼 일어나는데, 부정맥은 이러한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부정맥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심장 박동이 빠른 서맥, 심장박동이 느린 서맥, 불규칙한 심박동으로 나뉜다. 통상적으로 심박동수가 분당 100회 이상인 경우를 빈맥이라 하고, 60회 미만인 경우를 서맥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부정맥은 심장질환 혹은 전신 질환과 연관돼 발생하지만, 특별한 원인 없이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특발성 부정맥이라고 한다. 배장호 건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부정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원인과 증상= 부정맥의 원인은 다양하다. 음주와 관련돼 나타날 수 있고 갑상선 기능의 이상,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장혈관 질환, 선천적인 심장 내 비정상적인 신경다발이 존재함으로 인해 나타날 수도 있다. 부정맥의 대표적인 증상은 두근거림이다. 정신적 충격이나 심한 운동 이후 발생하는 가슴의 두근거림은 있을 수 있지만, 특별한 상황에 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갑자기 가슴의 두근거림이 있다면 부정맥 증상이 아닌지 점검해봐야 한다. 또 갑자기 가슴을 찌르는 듯한 통증이나 꾹꾹 눌리듯 답답함을 느낀다면 부정맥 증상에 해당되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한다. 심장 박동이 불규칙하거나 느려지면 혈압이 급격히 저하되는데. 이러한 경우 가슴이 두근거리지는 않지만 어지러움이 발생하고 체력이 저하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부정맥이 정상보다 빨라지면 어지러움이 발생, 정신이 혼미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는 자칫 돌연사의 위험까지 있으므로 초기에 진료를 받고 예방하는 것이 좋다.

◇검사 및 진단= 부정맥의 진단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심전도 검사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정맥은 빈도가 하루에 한번, 1분 미만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1개월 혹은 1년에 한 번씩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한 번의 심전도 검사로 부정맥의 정류와 정도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심전도 검사를 보완하기 위한 검사 방법은 24시간 심전도 검사다. 그러나 24시간 동안 심전도를 기록해도 부정맥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들을 거의 완벽하게 보완한 것이 부정맥유발검사(심장전기 생리 검사)다. 이 검사는 다리 혈관에 바늘을 찔러 바늘을 통해 심장 내부에 전선을 3-4개를 넣고 외부에 연결된 컴퓨터와 기계장치를 통해 심장에 아주 정교하게 계획된 자극을 가해 원래 환자가 가지고 있던 부정맥을 유발시키는 방법이다. 검사를 통해 부정맥의 종류도 확인할 수 있다. 바늘을 찌르는 부위에만 국소 마취를 하고 검사하므로 마취제를 주사할 때를 제외하고는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또 검사 중 의사와 환자 간 대화가 가능, 전신 마취로 인한 위험과 환자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으며, 흉터도 남지 않는다.

◇치료= 부정맥은 원인과 증상에 따라 치료법이 다르다.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빈맥과 같은 부정맥의 경우 전극도자 절제술을 시행한다. 이 시술은 부정맥 유발검사를 통해 부정맥의 원인이 되는 조직을 찾아서 그곳에 고주파를 방출, 원인 조직을 파괴하는 방법이다. 또 인공 심박조율기는 심장박동이 비정상적으로 너무 느려서 대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 어지러움을 쉽게 느끼거나 실신을 일으키거나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느끼는 환자들에게 필요한 장치다. 또 다른 치료법은 체내 삽입형 제세동기 사용이다. 악성 부정맥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감지, 심장에 전기자극이나 충격을 가해 부정맥을 즉각적으로 중지시키는 장치로 돌연사 또는 급사를 예방해준다. 심실 빈맥이나 심실세동과 같은 부정맥치료에 효과적이다. 이 외에 항부정맥 약물을 이용해 치료하기도 하며, 외과적인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배장호 건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
배장호 건양대병원 심장내과 교수.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