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은 올해 연구개발특구 사업이 시작돼 한창 바쁜 시기이다. 지난 2월에 기술이전사업화 R&BD 지원공고를 시작으로 분야별로 다양한 과제가 들어오고 있다. 사업설명회에서 세부 내용을 설명했지만 지면을 통해 중요한 변화를 공유하고자 한다.

연구개발특구의 사업은 출연연구소와 대학의 기술이 기업에서 사업화되도록 돕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의 수요와 연구기관의 기술이 연결돼야 하는데 사전에 정교한 촉진활동이 필요하다. 기술혁신이 잘 일어나기 위해서는 동 업종 뿐만 아니라 다른 업종과의 만남도 필요하다. 이러한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특구 내 전문가가 의견을 모아 사업방향을 잡았다.

첫째, 기술이전의 출발점을 기술 수요자인 기업 중심으로 전환했다. 기업의 기술수요를 먼저 파악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찾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물론 유망한 기술을 찾아 체계화하는 일도 계속하는데 발굴된 기술에 기업인 관점의 비즈니스 모델을 추가해 공개할 예정이다. 이렇게 하면 기업이 사업화 추진을 검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업의 기술수요를 찾는 데는 기술보증기금이나 KISTI 등 여러 기관과 협력해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조직화 했다. 양방향 기술 찾기의 전 과정에 기술사업화 전문기업이 참여해 기술발굴과 이전이 동시에 이뤄지게 했다.

둘째, 특구 지원사업을 기존의 연구개발과제 지원 중심에서 생태계 조성 중심으로 전환했다. 이를 위해 R&BD과제의 예산비중을 줄이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예산을 확대했다. 기술이전 R&BD와 연구소기업 R&BD의 1차년도 지원규모를 3-4억 원에서 2억 원으로 줄여 더 많은 기업에게 사업화 기회가 가도록 했다. 또한 모두 2년이던 과제 기간도 1년에 끝낼 수 있는 것은 단기간에 사업화하도록 유도하고, 필요한 경우에 1년 더 지원하는 `One plus One` 형태로 전환했다. 그리고 시장에서 사업성을 이미 검증받아 투자를 유치한 기업에 대해서는 투자연계형 R&BD를 지원해 창업 초기부터 신속한 후속 사업화가 가능하게 했다.

셋째, 연구개발특구내 각 혁신주체가 상호 연계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플랫폼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뒀다. 다양한 분야의 주체가 그룹 내에서만 만날 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 협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기술분야별 모임을 활성화해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이슈를 발굴하고 해결방안까지 모색하도록 했다. 도출된 이슈에 대해서는 연구개발특구사업에서 1차 해결하고, 대형 이슈는 신규 사업으로 건의해 정부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창업지원, 투자, 글로벌 진출 등 기능별 기술사업화 네트워크를 구성할 예정이다. 기술사업화 네트워크는 1차로 특구별로 모임을 가진 후 전체 특구를 통합하거나 수도권의 네트워크와 연합하는 형식으로 연계 발전시킬 계획이다.

연구개발특구는 전국에 5곳이 지정돼 있다. 약 140㎢ 면적에 출연연, 대학 등 연구기관 106개와 기업 4804개가 모여 있다. 총 면적이나 기업 수는 전국규모에 비해 작지만 이곳에 공공연구개발 예산의 50% 이상이 투입되고 박사급 인력 25%가 모여 있다. 수도권이 아닌 지방에 이러한 혁신 역량이 모여 있다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이런 연구개발특구를 지역발전과 국가혁신의 원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

우리는 4차산업혁명이라는 시대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외국의 추이를 보면 새 시대는 각국의 역량 있는 소수 기업이 리드해 갈 것으로 보인다. 반면 우리 중소기업은 이런 큰 변화에 대응할 역량이 부족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산학연 협력이 필요하다. 현재는 대학도 인구감소의 위기에 직면해 있고, 출연연도 새로운 미션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 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지역별 산학연이 연합해 4차산업혁명에 대비한 공통분모를 찾아 함께 해결하는 새로운 협력 모델이 필요할 때다. 윤병한 대덕연구개발특구본부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