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여성 과반수가 50세 이상이 되면서 가임여성 수가 급감`, `2027년 수혈용 혈액 부족`, `2035년 남성 3명 중 1명, 여성 5명 중 1명이 미혼인 미혼대국`, `2040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절반 가까이가 소멸 위기 직면`, `2045년 도쿄 인구 3명 중 1명 고령자.`

이 두려운 예측은 일본의 인구정책 전문가로 꼽히는 가와이 마사시가 자신의 저서 `소리 없이 다가오는 재난, 인구절벽`에서 연도별로 정리한 인구감소 캘린더다. 저자는 일본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구현상을 정리하고 무사태평한 일본의 인구정책을 지적한다.

일본의 저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인한 인구급감은 우리나라와 별반 차이가 없다. 이미 우리나라에서도 인구소멸은 현실화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2만 7500명으로 지난해 2월보다 3000명(9.8%) 줄면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인구 자연증가분은 올해 1월 500명에 이어 2월에도 2500명에 그쳤다. 인구절벽이 가속화되고 있는 셈이다. 이미 인구의 자연감소가 이뤄지고 있는 고령층이 많이 사는 지방의 중소도시는 쇠퇴를 넘어 소멸의 길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충북의 인구 감소세는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올해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역전해 인구가 자연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혼인과 출생아 수가 해마다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사망자 수는 꾸준히 증가해 올해 처음으로 출생아 수를 앞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017년 인구 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 잠정 결과에서 표준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를 기준으로 충북의 연령 표준화 사망률은 3.6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

충북에서 소멸위험에 진입한 지자체는 단양, 괴산, 보은, 옥천, 영동 등 5개 지자체나 된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순식간에 이들 지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처해있다. 이는 지방 존망의 시한폭탄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인구감소 원인은 지자체마다 다르고 매우 복잡하다. 이런 위기 속에서 취약한 지방도시나 농촌지역의 성장 가능성을 찾아 다시 숨 쉴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하루빨리 종합적이고 중장기적인 전략으로 미래 인구소멸이라는 극한 상황이 닥치지 않도록 지자체를 지켜내야 한다.

김대호 지방부 청주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