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지역 초·중 단위학교 영재교육이 크게 위축됐다고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교육 현실은 정반대이니 아쉬운 노릇이다. 대전영재교육이 뒷걸음질 친 데는 이유가 있다. 지난해 대전시의회에서 영재학급 운영 예산 4억 3000여만 원을 싹둑 잘랐기 때문이다. 일부도 아닌 전액을 삭감했으니 시 의회 차원의 영재교육에 대한 입장과 철학을 묻지 않을 수 없게 한다.

현실은 우려대로다. 올해 단위학교 영재학급은 동부교육지원청 14개교 16학급, 서부교육지원청 51개교, 69학급이 편성되는 데 그쳤다. 동부지역의 경우 지난해 24개교 26학급에서 절반에 가까운 10개교 10학급, 서부지역은 59개교 75학급에서 8개교 6학급이 줄었다. 대전영재교육은 단위학교를 기반으로 중 3학년 때 지역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과 대전과학교육연구원 창의융합영재교육원에서 집중 교육을 받는 구조다. 영재학급의 위기가 영재교육 시스템 전반을 위협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다른 문제도 있다. 그동안 양질의 교육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무료 운영된 영재학급 예산이 깎이면서 불똥이 엉뚱한 데로 튀었다. 올해 100% 수익자부담으로 전환돼 소득분위 중하위 계층 학생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됐다. 동부를 중심으로 한 원도심 지역의 영재학급이 유독 큰 폭으로 줄면서 고질화된 동·서간 교육 격차를 해소하기는커녕 더 벌어지게 할 것이라는 우려도 크다.

명색이 4차 산업혁명의 메카라는 대전시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태여서 더 난감하다. 인재를 육성해야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쥔다. 주입식이나 정해진 정답을 찾아 외우는 방식 대신 사고를 키우고 조화시켜 능동적으로 협업하게 하는 창의·융합협 교육이야말로 국가경쟁력의 원천이다. 아이디어와 비전을 결합한 집단지능으로 문제 해결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높이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학생 간 위화감 운운하는 포퓰리즘으로는 영재를 키우지 못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