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기능이상증 자료사진.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갑상선 기능이상증 자료사진. 사진=건양대병원 제공
갑상선에 생길 수 있는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갑상선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발생하는 갑상선 기능항진증과 갑상선 호르몬 부족으로 인한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의 양성 및 악성 종양 등이 있다. 갑상선 호르몬은 신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와 열을 발생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신생아나 소아에서는 뼈와 뇌 성장과 발육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갑상선기능항진증과 저하증에 대해 임동미 건양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의 도움말로 자세히 알아본다.

◇갑상선기능 항진증이란= 갑상선기능항진증은 갑상선에서 갑상선호르몬을 정상보다 많이 만들어서 몸에 갑상선호르몬이 너무 많은 상태를 뜻한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그레이브스병이며 이 때문에 두 가지 용어는 동의어로서 혼용돼 쓰이고 있다.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기전에 의해 생기는 병으로 다른 갑상선 질환처럼 대부분 20-40세 사이의 젊은 여성에서 발병한다.

◇증상=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원인이 그레이브스병인 경우 갑상선은 거의 대부분 커지고 약 1/3 정도의 환자에서 눈이 커진 것처럼 보이고 눈이 튀어나오기도 하며 심하면 복시 증상이 있다. 흡연을 할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갑상선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에너지 대사를 촉진해 에너지를 과도하게 소모시키기 때문에 쉽게 피로해지고 체중 감소가 나타난다. 또 대부분의 환자가 더위를 잘 참지 못하고 땀이 많이 나며 갈증을 느끼게 된다. 이밖에 신경과민과 불안, 불면증이 생기며 손이 떨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과 치료= 갑상선 호르몬과 자가항체를 혈액으로 검사하고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갑상선 스캔 검사를 통해 병을 진단할 수 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치료법은 크게 약물치료, 방사성 요오드 요법, 수술 요법이 있다. 치료법마다 장점과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 중 어떤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는 지역과 문화적인 배경,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의 심한 정도, 갑상선의 크기, 방사성 요오드 치료 설비 유무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 결정한다.

약물 치료는 한국, 일본, 유럽에서 가장 선호되는 1차 치료법으로 안전한 반면 오랜 기간(약 2년)동안 치료를 해야하고 높은 재발률(약 60%)을 보이는 단점이 있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법은 미국에서 가장 선호되는 1차 치료법으로 경제적이고 높은 완치율을 보이지만 갑상선기능저하증이 합병될 빈도가 높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약물 치료만으로 완치율이 40-50% 정도다. 재발한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약물만으로는 완치가힘들고 장기간 지속되면 결국 심장과 근육에 돌이킬 수 없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잦은 검사나 약값으로 인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개념 및 증상=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우리 몸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의 갑상선 호르몬을 갑상선에서 생성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갑상선염에 의해 갑상선이 파괴돼 생기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방사성 요오드 치료나 갑상선 수술 후에도 흔히 발생한다. 항갑상선제를 과다하게 복용해도 일시적으로 기능저하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발병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이 서서히 진행되므로 진단이 쉽지 않다. 피곤하고 추위를 잘 탄다면 체질적인 문제라 치부하지 말고 갑상선 기능을 검사해볼 필요가 있다.

기능저하가 심해지면 쉽게 피로를 느끼고, 무기력해지며 매사에 무관심해지고 의욕을 상실한다. 체온이 낮아져 추위를 몹시 타게되므로 겨울을 나기가 어렵고, 입맛이 없는데도 체중은 자꾸 증가하게 된다. 또 얼굴은 붓고 푸석푸석한 느낌이 들고, 무표정한 얼굴이 되며 심지어 머리카락과 눈썹이 빠지기는 증상이 나타난다.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치료= 갑상선기능 검사 후 호르몬 부족 정도에 따라 갑상선 호르몬을 보충해 주는 것이 치료의 기본이다. 나이가 많고 심장병이 있거나 증상이 심한 환자의 경우에는 신체 반응에 따라서 서서히 양을 늘려서 갑상선 호르몬이 정상으로 유지되는 용량으로 계속 투여한다. 1년에 1-2회 씩 갑상선 기능검사를 해 적절한 요량이 투여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되며 대부분의 환자는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한다. 그러나 아급성 갑상선염이나 산후 갑상선염으로 인해 발생한 갑상선 기능 저하는 수개월 이내에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투약 기간이 짧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임동미 건양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임동미 건양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