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주택경기가 지난해부터 크게 위축되더니 올해 본격적인 침체기에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부동산금융전문기업 코람코자산신탁에 따르면 대전은 이미 주택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후퇴기로 접어 들었다. 충북 역시 정체기에서 후퇴기로, 충남은 후퇴기가 심화되거나 장기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나 홀로 활황세인 세종을 제외하고는 충청에 비상 등이 켜졌다. 경기에 미칠 여파가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스럽다.

대전의 경우 다가구 주택이 골칫덩어리다. 과잉 공급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공실률이 높아지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매입을 희망 하는 소유주가 급증하고 있다. 3000가구를 넘어선 매입임대 희망 물량이 그 단면을 여실히 보여준다. LH가 보유한 다가구 임대주택 공실률이 대전 17.2%이고 보면 매입 여력은 딸려 보인다. 여기에다 임대사업자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여서 소유주는 이중·삼중고가 불가피하다.

중소도시 주택시장은 유령아파트에 발목이 단단히 잡혀 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8440호로 1년 여 만에 두 배로 껑충 뛰었다. 천안은 3918가구가 빈 채로 남아있고, 청주도 2010가구가 분양되지 않고 있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다른 도시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기존 집값까지 끌어내리는 악성 매개체가 된다. 충청 주택시장이 이미 위험 단계에 진입한 만큼 선제적 대응이 요구된다.

금리 인상 등의 영향이 본격화하면 미분양 아파트 물량을 가진 중소건설사가 직격탄을 맞으면서 지역 전체가 동반 경기 침체에 빠져 들고 만다. 당장 물량 해소가 어렵다면 신규 공급이라도 속도 조절에 나서야 한다. 일단 시장 자율 기능에 맡겨야겠지만 종합적으로 수요를 예측하고, 충격파를 최소화할 일이다. 시장 추이를 면밀하게 살펴 미분양을 해소하되 투기적 가수요를 차단하는 정책 운영이 절실하다. 상황이 더 악화될 것에 대비해 정부가 `매입 후 임대` 같은 특단의 대책을 적극 검토할 필요성도 있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