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세권개발 53층 초고층 상업시설 랜드마크 조감도.
이미지=대전시 제공
대전역세권개발 53층 초고층 상업시설 랜드마크 조감도. 이미지=대전시 제공
대전역 인근 원도심은 충남도청을 비롯한 행정기관이 내포신도시로 이전함에 따라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대전시는 이 지역을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해 촉진지구 지정을 비롯해 새로운 개발사업을 유도하고 있다. 10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의 현주소와 상황을 짚어본다.

◇부활을 꿈꾸는 대전역세권=`대전역세권지구`는 2007년 지정돼 대전지역 8개 재정비촉진지구 중 하나다. 대상지역은 동구 삼성동, 소제동, 신안동, 정동, 원동, 대동지역 88만 7000㎡이다. 이중 16만 3280㎡가 상업과 업무용지로 21만 5888㎡는 주거시설, 47만 2032㎡는 기반시설에 활용될 계획이다. 대전시는 대전역세권 재정비촉진지구 지정과 함께 원도심 기반시설을 정비해 동서개발균형 격차를 해소할 복안을 세웠다. 역세권지역이 개발될 경우 53층에 달하는 초고층 상업시설이 솟아나고 침체된 건설경기 부흥,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 등 많은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대전시는 촉진계획을 수립하며 `대전역 주변 낙후지역을 미래형 명품복합도시`로 개발하겠다고 천명했다. 계획이 출발할 당시 둔산권 개발과 서남부 개발로 소외된 동구와 중구의 지역민들은 기대감이 고조된 상태였다. 충남도청, 충남도교육청, 충남경찰청 등 주요 행정기관의 공백을 역세권 개발을 통해 채울 수 있을 것이라는 장밋빛 청사진이 지역사회 곳곳에 퍼졌다. 철도관사촌, 대동1번지 판자촌, 으능정이 문화의거리, 중앙시장 등 일대 주민들은 침체기를 벗어나 새로운 전기를 맞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역세권 민자유치 `난맥상`=대전역세권개발의 핵심으로 초고층 상업시설을 꼽을 수 있다. 대전지역에 유래 없던 53층에 달하는 초고층 빌딩이 세워질 경우 63빌딩 잠실 롯데타워처럼 대전의 랜드마크로 불리는 것은 물론이고, 수많은 유동인구가 역세권을 방문해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누릴 수 있을 수 있다. 문제는 민자유치가 번번이 불발되며 사업이 10년이 넘도록 서류상으로만 남았다는 것이다. 대전시는 2008년부터 초고층 상업시설을 민자로 유치하기 위해 1조 4900억 원에 달하는 대전역복합2구역 개발사업을 시도했다. 하지만 2008년 민자유치 실패 후 2015년 2차에 걸친 재유치 활동을 벌였지만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 2016년에는 20여개 관계기관이 모여 실무협의를 했었지만 거기까지였다. 10년간 유치활동과 회의가 빈번히 이뤄졌으나 그간 이뤄진 건축계획지침과 각종 행정절차 서류가 현장에 닿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대전시를 비롯해 국회의원 등 정치권이 합세해 `개발 본격화`, `민간공모 순항`, `원도심 돌파구` 등 수많은 수식어를 쏟아냈지만 민간사업자 유치 불발로 53층 랜드마트 사업은 허공을 맴돌고 있다.

◇일장춘몽에 끝난 철도 부흥=대전역세권개발의 한 축을 담당한 철도관련 인프라 유치도 53층 랜드마크 사업과 같은 신세에 놓여있다. 대전시가 국립철도박물관을 대전에 건립하기 위해 유치전에 나섰지만 녹록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7월 21일 당시 권선택 전 대전시장은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박영선 참좋은지방정부위원장, 김현미 예산결산특별위원장(현 국토교통부 장관)과 함께 대전시가 철도박물관 제2관으로 계획한 중구 중촌근린공원을 방문해 정치권 협조를 요청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다음날인 22일 국토교통부는 대전시와 청주시, 의왕시 등 국립철도박물관 유치전에 참가한 11개 자치단체 관계자를 불러 철도박물관 공보방식 폐기를 통보했다. 대전역세권개발을 위해 사활을 걸고 국립철도박물관 공모전에 전력투구했던 대전시는 한순간 `닭 쫒던 개` 신세가 됐다. 설상가상으로 신창현 의원이 지난달 26일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을 국립철도박물관으로 승격하겠다는 `국립철도박물관법`을 발의하며 유치전은 정치권과 지자체가 얼키고 설킨 난타전으로 번졌다. 대전시의회 국립철도박물관 유치 특별위원회를 비롯해 국립철도박물관 대전유치위원회는 법안 폐기를 요구하며 반발하고 나섰지만 상황은 비관적으로 흐르고 있다. 국립철도박물관 유치와 맞물려 돌아가던 철도관사촌, 철도공원 등 인프라 사업은 제각각 진행될 운명에 처했다.

◇2025년으로 미뤄진 재정비=대전시가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한 8개 중 신흥, 선화용두, 도마변동 등 7개 지구는 2020년을 목표연도로 잡은 반면, 대전역세권지구는 2025년으로 연기된 상태다. 타 지역이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해 추진한 역세권 개발사업을 살펴보면 인천시의 제물포역세권, 인천역을 비롯해 경기도의 금정역세권, 군포역세권은 `사업추진과 지구지정목적 달성 어려움`을 이유로 해제됐다. 사업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판단에서다. 대전역세권지구가 차일피일 사업이 미뤄질 경우 이들과 같은 운명을 맞을 수밖에 없다. 대전시의 의지가 절실한 때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역세권개발을 두고 내부적으로 검토 단계에 있는 상황이며, 답보상태인 부분을 어떻게 풀어나갈지 고민이다"며 "53층 초고층 랜드마크를 짓는 복합2구역 이외에도 복합1구역도 사업여건이 안돼 어려운 상황으로 올해 하반기에 윤곽이 나올 수 있도록 사업을 추진할 생각이다"고 말했다.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대전역복합구역 개발계획안
자료=대전시 제공
대전역복합구역 개발계획안 자료=대전시 제공
대전역세권개발 개발사업 현황도.
자료=대전시 제공
대전역세권개발 개발사업 현황도. 자료=대전시 제공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