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인재 채용 충청권 상생방안] 상. 지역인재채용 광역화 나서야

세종시 출범이 있기까지 대전·충남지역민들은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행정수도 원안사수를 위해 수차례 궐기대회를 여는 등 지역민 모두가 심혈을 기울였다. 한마음 한 뜻으로 세종시 출범에 유공자 역할을 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 대전·세종·충남지역에 갈등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방 이전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의무채용을 놓고 눈치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대전과 세종, 충남을 동일한 지역권으로 묶어 하나의 권역화하자는 건의를 세종시가 확정하지 않는 데 기인한다. 현재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시·도 중 대전과 충남을 제외한 11개 시·도가 혁신도시로 지정돼 있다. 충청권에선 세종과 충북만 혁신도시로 지정된 것이다. 혁신도시법 시행으로 대전·충남 청년들은 지역인재 채용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각에서는 대전·세종·충남 3개 광역시·도를 하나의 권역화로 묶어 역차별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지역인재 우선채용에 대해 광역화를 위한 해법을 3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2020년까지 지역 인재 채용을 30%까지 의무화하는 혁신도시법 시행령이 시행되면서 공공기관 취업을 노리는 대전·충남지역 청년들의 한숨이 늘어날 전망이다.

153개에 달하는 공공기관이 전국의 광역시로 이전을 하거나 계획하고 있지만, 대전·충남에 자리잡을 공공기관은 전무하기 때문이다.

혁신도시법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전국에 조성된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은 2020년까지 채용 인원의 최대 30%를 지역 대학 졸업생으로 뽑아야 한다. 세종시로 이전한 19개 국책연구단지(중앙부처 제외) 역시 지역 대학 출신을 의무 채용해야 한다. 세종에는 앞으로 21곳의 공공기관이 추가로 이전할 예정이다.

대전과 충남에는 공공기관 이전 혁신도시가 조성되지 않았다. 대전·충남은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충청권 이전을 이유로 혁신도시 지정에서 제외됐다. 이에 따라 지역인재 의무채용 공공기관은 대전에 한 곳도 없고, 충남에는 2곳뿐이다.

세종으로 이전을 완료한 19개 기관은 2015년 639명, 2016년 398명, 2017년 195명을 신규 채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40개 공공기관이 세종시 이전을 완료하면 한해 신규채용 규모는 대폭 늘어날 게 분명하다.

이 때문에 대전·충남권 대학 졸업생의 경우 이번 개정안에 적용을 받지 못해 억울함의 목소리가 높다.

대전권 대학 졸업을 앞둔 김현섭 씨는 "지역 인재 채용 의무화로 공공기관 취업이란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자격이 안된다는 소식에 실망감이 크다"라며 "충청권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서로가 상생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앞서 권역화를 완료한 대구와 경북의 사례처럼 대전·충남·세종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채용지역 범위를 넓히자는 방안이 제시됐지만 세종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최근 충청권 4개 시·도 상생협의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지만 실마리를 풀지 못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세종시와 협의중인 다양한 안건과 함께 이번 사항을 교차·검토하고 있다"며 "같은 충청의 입장에서 공존의 길을 찾고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시 관계자도 "상생을 목표로 대승적 차원에서 대전시와 실무자끼리 구체적인 논의를 하고 있다"면서도 "세종시민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와 형태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호창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