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 한밭대 교수

김명수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
김명수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
대전시가 지속가능한 발전과 항구적 중핵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그 어떤 인프라보다 제대로 된 교통망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의견이다.

그러나 현실은 수년째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도시철도2호선 사업을 비롯 입체가 아닌 평면으로 추진되는 장대삼거리 교차로는 대전의 100년 대계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목소리가 높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사업인 대전권 순환교통망 구축 사업(외곽 19.31km, 내부 7.54km)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에 따라 자칫 사업이 지지부진해 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대전권 순환교통망 구축 사업은 외곽 순환도로인 정림중-버드내교(2.4km·827억 원) , 산성동-대사동 도로(4.81km·2049억 원), 비래동-와동 도로(8.9km·3265억 원), 유성대로-화산교 도로(3.2km·1104억 원)와 내부순환도로인 사정교-한밭대교 도로(7.54km·3952억 원) 등이다.

김명수 한밭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순환교통망만 제대로 구축돼도 도시철도2호선 못지 않은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 교수는 "대전권 순환교통망은 4개 축으로 구성돼 있는데, 전체적으로 중간 중간 단절이 돼 있다"며 "이로 인해 상당히 먼 거리를 우회해야 하는 등 큰 불편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근 청주만 해도 대전 보다 인구가 70만명이 적은데 제2순환도로가 잘 구축돼 있다"며 "대전이 광역도시 기능을 제대로 못하는 것도 순환도로가 단절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대전의 변화는 순환도로에 달려 있다. 순환도로가 연결되면 세종시는 물론 다른 지역과의 연계가 가능해 관광산업 등도 발전할 수 있다"며 "뿐만 아니라 대전의 도시공간구조 자체가 새롭게 변화될 수 있는 근간이 될 수 있다. 순환도로만 잘 구축된다면 도시철도 보다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시철도2호선이 계획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장과 시 공무원들의 의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트램은 예비타당성 재조사 보다 6월 지방선거가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현재 시장 후보군을 보면 트램에 대해 긍정적인 후보가 없다. 누가 시장이 되느냐에 따라 사업 자체가 사장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시민들은 트램이든 고가든 2호선이 추진되기를 바라고 있다"며 "그동안 트램을 추진하면서 사용한 홍보비, 용역비 등 엄청난 비용이 매몰될 수 있기 때문에 누가 시장이 되든 시 공무원들이 의지를 갖고 일관성 있는 정책을 추진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대삼거리 교차로 또한 현재가 아닌 미래를 봤을 때 입체화로 추진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 사업은 대전-세종간 BRT 때문에 행복청에서 전체 예산의 50%를 부담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교차로가 평면으로 설치될 경우 간선인 BRT가 교차로에서 정체될 수밖에 없다.

김 교수는 "장대삼거리 교차로도 초기에는 입체로 설정됐는데, 경제성을 따지다 보니까 평면으로 결정됐다"며 "교통소통이나 주변 환경 문제를 봤을 때 입체로 가는 것이 사고 위험도 줄이고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또 "고속도로에서 하이패스를 통해 논스톱으로 통과하면 소나무 5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며 "미세먼지 문제도 심각한데 평면 교차로는 정체가 불가피해 자동차 배기가스 등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평면으로 가면 차선을 확보해야 해 보도폭이 줄어 그만큼 보행권은 악화된다"며 "사업추진 단계에서 시민편의 등을 고려해 대전시가 적극 나서야 했는데 말 한마디 없었다. 대전의 100년 대계를 봤을 때 입체로 가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비용이 더 들더라도 정확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성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성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