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국 피고지다展 내달 5-5월1일 롯데갤러리

꽃,이후(After-Flower.花,以後)14-1.130.2x161.7cm.(100호)Oil on Canvas.2014
꽃,이후(After-Flower.花,以後)14-1.130.2x161.7cm.(100호)Oil on Canvas.2014
"꽃이란 피고 지는 과정상의 형상들을 통칭해서 꽃이라고 부를 뿐이다. 원래 공(空)한 것이 인연작용에 따라 시각적인 착시를 유발해 각양각색(色)의 꽃으로 보이는 것일 뿐이다. 아름다움이란 대상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분별이 사라진 그 자체인 것이다"

작가의 말처럼 아름다움에 관한, 더불어 삶에 관한 전형적인 정답은 없다. 하지만 흔히 그 답을 찾았다 생각하며 인식의 틀 안에 스스로를 가두게 된다. 그 틀을 깨는 작업은 여실히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일 것이다. 생로병사를 포함한 모든 자연계가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는 것처럼 고정적인 자아는 존재하지 않는다. 화업을 통해 끊임없이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작가 김근중의 작업세계와 새봄 본연의 생명력을 느낄 수 있는 `화국-피고지다 展`이 내달 5일부터 5월 1일까지 롯데갤러리 대전점 9층에서 개최된다.

`모란 작가`로 알려진 작가의 작품 30여 점이 이번 전시에서 소개된다. 작가는 구상에서 추상으로, 다시 구상에서 추상을 반복하며 물고 물리는 내용적 흐름을 유지해 왔다. 그가 주요 화제로 삼고 있는 `Natural Being(原本自然圖)`에서도 알 수 있듯 그의 작가적 태도는 존재 자체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이다.

이 문제제기는 동양정신의 본질에 대한 탐구로 구체화된다. 화폭 속 형형색색의 모란은 단순히 전통회화에서 모란이 뜻하는 부귀의 의미도, 꽃의 화려함을 찬미하기 위한 장식적 성향의 결과물도 아니다. 꽃이라는 상징적 소재를 통한 생성과 소멸의 이치,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존재의 현존을 이야기하기 위함이다. 이번 전시의 부제 화원(花園)은 작가가 언급하는 `꽃세상`처럼 희로애락, 욕망, 번뇌, 희망 등이 공존하는 세상을 의미하며, `피고 지다`는 그 안에서 생성되고 소멸되는 존재들, 혹은 그 자체를 뜻한다.

자유분방한 민화의 정신처럼 김근중의 화면 속 가득 찬 꽃은 점차 모란이라는 구체성을 벗어나지만 이미 우리의 의식 속 꽃이 함축한 생명력에 대한 관념, 또한 외려 형용할 만한 생의 에너지를 전달한다. 그가 규정하는 `꽃세상`에서 `꽃, 이후`의 의식의 흐름은 마치 선연한 꽃무릇을 보며 느끼는 시각적, 심리적 충만함과 비슷함을 느낄 수 있다. 이는 `꽃`이라는 형상이 가진 장점이자 궁극의 난점이다. 근작의 `꽃, 이전` 연작은 그 난점을 풀기 위한 움직임으로 읽혀진다. 꽃세상에서 볼 수 있는 현존성, 그러한 현존성이 보다 의식적으로 정형화되고 극대화 된 것이 `꽃, 이후`라면 `꽃, 이전`은 우리가 가시화시킬 수 없는 내재적 세계, 혹은 근원성에 대한 연구이다. 종전의 구체성은 허물어졌지만 그 구체화된 형상의 원시적인 기운의 색면과 원색의 흐드러진 운율에서 생동하는 생명력을 엿볼 수 있다. 설명적인 요소를 걷어냈지만 도리어 체감의 영역은 확대된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의 화업도 함께 만날 수 있다. 1990년대, 고구려 벽화와 둔황벽화를 모티브로 한 벽화작업으로 시작된 그의 작업은 2000년대 초반 벽화의 형상을 배제한 미니멀 작업에 집중하다, 2005년부터 전통 화조화와 민화에 영향을 받은 재현작업으로 변화를 도모하며 형상을 찾게 된다. 이 시기부터 볼 수 있는 작품이 모란 그림이다. 작가는 2012년부터 다시 탈 형상을 지향하며 현재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업 주제를 심화시켜나갔던 모란 시리즈부터 근작의 비구상 작업까지 소개 될 예정이다. 서지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金謹中(Kimkeunjoong).Natural Being(꽃세상,原本自然圖)12-2.259x194cm.Acrylic on Canvas.2012
金謹中(Kimkeunjoong).Natural Being(꽃세상,原本自然圖)12-2.259x194cm.Acrylic on Canvas.2012

서지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