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유도를 위해 2022년까지 전국 2만 곳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일자리 7만 5000개를 창출한다고 밝혔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도움으로써, 스마트팩토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공장의 스마트화 수준 제고를 꾀한다.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팩토리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실시하고, 스마트팩토리 기반기술 개발과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을 확대한다. 이에 더해, 스마트팩토리 확산을 정부 주도에서 민간·지역 중심으로 전환, 기존의 민간 30% 대 정부 70%인 구축 비율을 50% 대 50%로 조정하고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하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도 도입한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생산성 향상, 경쟁력 강화는 물론 중소기업의 근로환경이 개선, 청년이 찾아오는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면 크게 반길 일이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면 바람직한 일이다. 공장의 스마트화는 새로운 제품 생산뿐 아니라 에너지 소비나 제조업 근로자의 노동환경 등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나아가 기계·설비 등을 원격지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 통근 자체가 불필요하고 안전한 장소에서 쾌적하게 근무할 수 있게 돼 근로자 생활의 질이 향상된다. 또한, 선진국들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는 제조업 분야 숙련공들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전수하는 시스템을 개발, 생산인구 감소를 극복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향후 스마트팩토리는 스스로 생산, 공정통제 및 수리, 작업장 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스마트공장에 대한 투자 장애요인으로는 `자금부족과 시스템 운영 부담`을 꼽은 응답자가 44.6%로 가장 높았다. 시스템 구축 관련 인력채용 또는 직원교육부담 20.6%, 유지 및 보수 등 사후관리부담 17.4%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의 부담이 자금 부담에 집중된 만큼 정부의 지원이 스마트공장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공장을 위해 자발적으로 투자하겠다는 응답은 52.6%에 그쳤지만 정부에서 투자금의 절반을 지원할 경우 투자의향은 14.4% 포인트 늘어나 62%까지 올라갔다. 스마트공장 도입 기업이 지니는 장애요인으로 기존 장비의 활용 또는 처분 문제, 표준화 지연과 투자비용 회수 한계, 보안 및 내부 기밀 유출에 대한 불안감, 고정비 증가에 따른 재무적 유연성 저하, 아웃소싱 같은 다른 제조 대안의 존재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공장 도입 초기에 목표의식의 부재와 경제적 타당성 분석 미흡, 전문코디네이터의 부재로 작업자 직관에 의한 공장제어 및 품질제어, 교육과 소통의 미흡 등을 줄여야 한다. 스마트공장이 글로벌 제조업의 경쟁 지형을 바꾸고 있음은 자명하다. 제조업의 산업여건에 따라 기술과 사업 역량, 기업 사이 구조의 특성이 다르므로 스마트공장 확산 속도에 차이가 있지만 기업의 체질에 맞는 스마트공장 도입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기존 생산성 제고 틀의 한계를 극복하는 보완적 수단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해야 한다. 전원식 중소기업중앙회 대전세종충남지역회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