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있었던 한 간담회에서 `미투(#Me too·성폭력 사회적 고발)` 운동이 화두에 올랐다.

함께 자리했던 한 경찰공무원은 미투 운동에 대해 `명예 살인을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부분 미투로 끌어올려진 과거의 성폭력 사례가 공소시효가 지난 것으로 실제 처벌을 할 수 있는 경우가 많지 않고, 가해자로 지목되면 이름이 매체에 오르고 사회적으로 매장당한 다는 점에서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그의 말대로 현재의 미투 운동은 `명예 살인`이라는 오명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미투 운동이 성폭력 가해자에 대한 처벌에만 목적을 둔 것일까?

미투 운동의 본질은 권위적, 권력적 성폭력을 근절하자는 사회적 운동이다.

미투 운동은 남성 중심의 성차별 문화, 위계의 문화 전반에 대한 성찰과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그동안 침묵으로 방조돼왔던 성폭력 피해에 대한 연대 운동이다.

`이제 와서`가 아니라 `이제라도` 성폭력을 가했던 이에게 잘못을 반성하고 사과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사회적 반성과 성찰을 통해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 의식을 바로잡겠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은 스스로 성폭력 피해를 고발하며 이를 증명하기 위해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사회적 시선, 수치스러움을 견뎌내면서 과거의 기억을 끄집어 내고 있다.

이들은 더 이상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하면 안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외침은 전 사회, 특히 남성의 사고 의식이 개조돼야 한다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사회 전반으로 미투운동이 확대되고 있지만 민간기업이나 공공기관 등 일반 조직은 여전히 미투의 사각지대다.

보복 인사나 소문이 두려워서다.

최근 3년 간 지역의 대표적 공공기관 등에는 성폭력 관련 신고 건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방경찰청에 신고된 직장내 성희롱 건수는 지난 3년 간 단 한 건도 없었으며, 대전시청은 2015년과 2016년은 0건, 지난 해 1건이었다. 이를 단지 `숫자적`으로 해석할 이는 없을 듯하다. 전문가들은 직장 내 성범죄는 여전히 쉬쉬하고 넘기는 분위기가 많아 통계에 잡히지 않은 성범죄는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한다.

한 달 넘게 미투 운동이 사회에 들불처럼 번지면서 본질이 왜곡되거나 부작용이 감지되기도 한다.

피해자들이 힘겹게 수면 위로 끄집어 낸 `과거`는 단지 개인적인 고발이 아니라, 이제 사회가 변화해야 한다는 외침인 것이다.

그들은 결심했을 것이다. `행동하지 않으면 바뀌지 않는다`는 것을. 이것이 미투 운동의 본질이다. 강은선 취재1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