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호가 최근 `내수면 마리나 관광개발사업` 후보지로 추천됐다.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호수인 대청호를 개발하겠다는 것이다.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법 규제 완화를 전제로 대청호 인근 4개 지역을 후보지로 추려 해양수산부에 전달했고 해수부는 이를 토대로 마리나항 조성을 위한 계획을 짜고 있다.

대청호는 지역민의 상수원으로 상수원보호구역,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으로 분류돼 개발사업을 금지하고 있다.

환경부가 대청호를 보전을 위한 곳으로 봤다면 K-water는 개발 대상으로 본 셈이다.

개발(開發)과 보전(保全)을 두고 대청호의 운명이 뒤바뀔 상황에 놓인 것.

개발을 한다면 수상레저사업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일정 부분 보탬이 될 수 있다.

충북 옥천군은 이 같은 사실을 토대로 대청호에 마리나항이 조성되길 바라고 있다.

하지만 마리나가 들어선다면 수질오염을 비롯한 환경훼손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된다.

개발을 해서 얻는 이익이 보전을 해서 얻는 가치보다 얼마나 클지는 아직 가늠하기 어렵다.

다만, 4대강 사업 등 전례를 봤을 때 개발을 통한 이익이 쉬운 일이 아닌 것을 엿볼 수 있다.

지난달 K-water 4대강 문건 파기 사건 당시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경인아라뱃길` 국고지원 문건을 보면 수익사업은커녕 막대한 손실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쇄소로 향할 뻔 했던 이 문건 중 경인아라뱃길 사업성 변동 현황에는 `국고 지원을 전제해도 1조 원 이상 손실 발생`한다고 기록돼 있다.

반면 아라뱃길 홈페이지에는 이 곳을 통한 기대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 친환경 물류혁신, 친수문화공간 조성, 홍수피해 예방 등 수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기술돼 있다.

1조 원의 손실이 발생하는 가운데 지역경제가 얼마나 활성화됐을지 의심스러운 대목이다.

대청호에 마리나가 도입되면 지자체를 비롯한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단어를 이곳에 다시 쓸 것이다.

금강유역환경청은 대청호를 식수로 쓰는 인구가 최소 320만명에서 최대 450만명에 달한다고 분석하고 있다.

대청호를 대체할만한 곳은 주변에 없다.

이곳이 오염된다면 450만 지역민의 삶이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

마리나 사업이 과연 지역민에게 득이 될지 실이 될 것인지 냉철한 판단이 절실한 때다. <정재훈 취재2부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