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청년복지 정책들이 줄줄이 보완 과정을 거치고 있다. 취지와는 달리 의욕이 앞서다 보니 현실과 괴리가 발생한 데서 비롯된 걸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시행 중인 청년취업 희망카드의 경우 지원대상 확대에 나섰다. 졸업을 1년 남겨놓은 재학생과 휴학생까지로 그 대상을 늘린 게 두드러진다.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융자지원 사업 역시 수요자인 청년 중심으로 대폭 개선한다. 기존 1600만 원인 대출한도를 5000만 원까지 확대하고, 이자지원은 연 3-4%에서 연 5% 이내로 전액 지원해 사실상 무이자 혜택을 주기로 했다.

청년취업 희망카드는 청년들의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도입했다. 학원수강료 같은 직접비용과 교통비, 식비 등을 월 30만 원씩 6개월간 최대 180만 원 지원한다. 6000명을 목표로 첫발을 뗐건만 신청자가 4715명에 그쳤고, 실제 지원받은 청년은 3672명에 불과했다. 공돈이나 다름없는 청년수당에 별다른 관심이 없다니 알다가도 모를 노릇이다. 청년 주택임차보증금 융자지원도 대상에 대학생을 추가했고, 기존의 취업기간을 없애 사업대상을 넓혔다. 말이 좋아 보완이지 청년들에게 정작 필요한 게 무엇인지, 대상과 규모는 어느 정도가 적정한 지 치밀하게 검토하지 않은 탓이다.

3년간 540만 원을 저축하면 대전시가 같은 금액을 지원해 두 배로 불려주는 청년희망통장의 정착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저소득층 근로청년에게 목돈을 마련해주자는 취지지만 호응이 있을 지는 지켜볼 일이다. 취업난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청년 대상의 여러 복지가 기초연금처럼 보편적 정책의 하나로 확산되는 추세이긴 하다. 그렇다고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는 만큼 일자리 정책과 연계가 절실하다. 마땅히 갈 만한 직장이 없는 현실에서 청년수당 같은 정책은 선심성으로 흐르거나 외면 받기 십상이다. 지역사회의 폭 넓은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청년들의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여 효과 극대화 방안을 찾을 일이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