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가 다가오면서 출마 후보예정자들의 이름 알리기가 한창이다.

이들 후보예정자들 사이에서는 본선에 나가보지도 못하고 뜻을 꺾어야만 이들도 존재한다. 지지율이 높은 정당의 후보예정자일수록 더욱 그렇다.

기초자치제 선거 정당공천제는 2006년도 선거에 처음 도입됐다. 정당의 입장에서는 다수의 후보자가 나오게 되면 표가 분산돼 선거에서 패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한 명의 후보자를 집중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선거의 승리를 위해서 정당의 공천이 필수적인 과정이 되고 있는 것이다. 선거의 승리 외에도 후보자를 사전에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동안 중앙정당의 인사권 독점으로 인한 비리 문제와 지역주민의 대표가 중앙정당의 영향력에 예속돼 진정한 지방자치가 불가능하다는 문제 등 제도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선거 때 마다 나온다.

각 정당의 공천룰이 확정돼 가고 있다. 여론조사와 당원(권리당원, 책임당원)조사에 의한 공천과 당원100%에 의한 공천 등 광역, 기초 단체장, 기초의원 등의 경선방식이다. 경선에서 패배하는 후보예정자들은 공천을 받지 못해 선거구민 선택의 기회를 박탈당한다.

최소한의 일정한 당비를 납부하는 당원모집에 실패할 경우 경선패배의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

그렇기 때문에 후보예정자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타 후보예정자들보다 더 많은 당원들을 모으는데 열을 올리게 된다. 이렇게 모인 당원들은 지방선거 이후 총선과 대선을 위한 밑거름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중앙정치권이 활용할 수 밖에 없는 매력적인 카드다.

당진시에서도 벌써부터 정당별로 후보자의 윤곽이 나오고 있다. 시민들의 표심보다는 당심(堂心)이 높은 후보예정자들이 본선에 합류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후보자의 능력과 됨됨이, 그동안의 의정·사회활동 보다 앞서있는 것이 당심이다.

지방선거에 나서는 후보예정자들의 70%가 정당공천제를 원하지 않는다는 발표는 중앙정치에 예속되지 않고 진정한 지역의 일꾼으로 평가 받고 활동하고 싶다는 외침이다.

"솔직히 계급장 떼고 붙고 싶다. 그럼 누가 진정한 일꾼인지 시민들이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것이다"는 모 후보예정자의 한탄은 정당공천제를 유지시키고 있는 기득권들에겐 외면하고 싶은 적폐일 것이다. 차진영 지방팀 당진주재 차장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