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으로 지역 자동차 관련업계에도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당장 군산과 같은 실직 위기나 줄도산 공포는 아니지만 후폭풍을 피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자동차 산업은 공장뿐만 아니라 부품 등을 공급하는 협력업체가 긴밀히 연결되어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완성차 공장이 문을 닫으면 납품을 하는 협력·정비업체들의 연쇄 파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수밖에 없다. 대전·충남에서도 군산공장에 납품을 하는 업체가 적지 않다. 공장 폐쇄를 지켜보는 부품업체들로선 불안해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군산공장은 직원이 2000여 명이나 된다. 협력업체도 130개가 넘고 종사자만해도 1만 700여 명에 달한다고 한다. 지역에선 대전 3곳, 충남 36곳이 부품을 납품하고 있지만 창원이나 부평공장에 비해선 비중이 낮은 편이다. 군산공장이 그동안 수출 등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 만큼 공장 폐쇄 발표는 경제적으로도 충격적인 일이다. 더구나 근로자, 협력업체는 물론이고 가족들의 생계까지 달려있는 문제이니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군산공장은 이미 지난해부터 가동률이 20%로 떨어지면서 협력업체들이 경영악화에 시달려온 상황이다. 정상가동을 고대하던 중에 발표된 공장폐쇄는 그야말로 날벼락이라고 할 것이다.

GM은 "군산공장의 폐쇄는 판매 부진과 가동률 하락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순수하게 받아들일 수는 없다. "2월 말까지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뤄내야 한다"고 밝혔듯이 우리 정부에 지원을 해달라는 압박에 다름 아니다. 공장 폐쇄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군산시가 팔을 걷어붙이고 있는 모양이다. 대책반을 구성해 정부와 한국GM 본사 등을 상대로 군산공장 정상화와 폐쇄 철회를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군산시만의 힘으로는 버거울 수밖에 없다. 정부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