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에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선발 비율 축소는 지방 학생들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것이란 지적이다.

교과성적이 아닌 비교과활동의 주요기록을 토대로 신입생을 선발, 사교육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들에게 균등한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종 비율 축소는 지역 학생들에게는 수도권 대학 진학 기회 감소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다.

13일 교육부에 따르면 오는 8월 학종 비율을 비롯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내용 축소 등의 내용이 담긴 대입제도 개선안을 내놓기 위해 각계의 의견을 수렴 중이다.

학종은 학생부기록 등 비교과활동의 주요기록을 토대로 신입생을 선발하는 전형으로, 대학이 교과성적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해 신입생을 선발함으로써 공교육을 정상화하자는 취지로 도입됐다.

2018학년도 대입에서 서울 소재 15개 대학은 전체 모집인원의 43.3%를 학종으로 선발했다. 이를 통해 지방에서도 많은 학생들이 수도권 대학에 진학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학종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지면서 이를 축소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모양새다.

이 같은 교육부의 움직임에 학교현장에서는 학종이 정착되면서 학생들이 더 나은 대학을 선택하는 긍정적인 기능이 있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상위권이 아닌 중하위권 고등학교의 경우 수능 성적으로만 수도권 대학에 진학하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학교생활에 충실할수록 유리한 학종이 정착되면서 학생들로서는 폭 넓은 선택이 가능해졌다는 설명이다.

또 학교 활동에 초점을 두다 보니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아도 돼 공교육 정상화 효과도 있는 상황에서 학종을 축소하면 사교육이 다시 활성화 될 것이란 의견이다.

지역의 한 고등학교 교사는 "이러한 긍정적인 기능은 배제한 채 `금수저 전형` 등 부정적인 시각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안타깝다"며 "학종이 정착되면서 지방에 있는 학생도 서울권 대학을 가는게 수월했는데, 만약 비율이 축소된다면 지방 학생들에게 단점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입시 업계 관계자는 "대학마다 선발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학종이 지방에 유리한지 불리한지 따지기는 어렵다"며 "오히려 학종에 치중하다 보니 수능 최저 등급을 맞추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는 등 부작용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종이 정착하는 단계에서 이를 또 다시 흔들면 학부모와 학생들의 혼란은 가중될 것"이라며 "학생들이 다시 수능에만 집중하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우려했다.정성직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성직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