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지방의원에 도전하는 정치 신인들의 진입장벽이 높아졌다.

민주당이 지방의원의 경선 방식을 전원 권리당원 선거로 정했기 때문. 후보 경선에서 권리당원 의사만 묻는 것은 현직 의원들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 정치권 시각이다.

민주당의 이 같은 결정에 따라 지방의원에 출마를 예정했던 이들은 허탈감을 드러냄과 동시에, 현역 의원들에게 유리한 경선 방식을 비판했다.

대덕구에서 출마를 준비중인 한 출마예정자는 "권리당원과 일반 유권자 50대 50의 후보 경선이 예상돼 매일 아침 1시간 40분 동안 출근길 인사를 하며 유권자들에게 얼굴을 알렸다"며 "하지만 갑자기 방식이 바뀌면서 계획에 차질이 빚어졌다. 권리당원의 의견만 물으면 현직 의원들이 유리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성구에서 출마를 준비중인 또 다른 예정자는 "권리당원의 의견만 묻는 것은 국민들의 목소리를 배제하기 때문에 미흡한 경선이 될 수 밖에 없다"며 "이런 경선 방식은 기득권을 갖고 있는 현역 정치인에게는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 저 같은 신인들에게는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 권리당원이 누군지 출마예정자에게 알려줘야 하는데 알려주지 않아 깜깜이 경선이라고 봐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치 신인들은 현역 의원들이 영입한 권리당원의 수가 자신들보다 절대적으로 많음을 경계했다. 지난해 8-9월 민주당은 권리당원 영입을 적극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현역 시의원 등이 큰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본격 영입 전 대전의 민주당 권리당원은 1만 1000여 명이었으나 8-9월 이후에는 3만 3000명으로 2만 2000명이나 늘었다.

민주당 대전시당 관계자는 "경선방식을 충분히 고민한 결과다. 광역·기초단체장은 국민 인지도 문제가 있어서 50대 50으로 했지만 지방의원은 당원들의 선택이 중요한 것으로 봤다"며 "풀뿌리 생활정치를 하는 분들이니 당원들의 의견이 정확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유권자수 대비 권리당원 수가 현격히 적은 선거구(당세 취약지역)는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또 비례대표 지방의원 후보자는 정체성, 당기여도, 의정활동 능력, 도덕성, 대표성을 심사기준으로 삼고 지방선거대책본부 확대개편은 다음달 회의에서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김달호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달호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