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연결성 기능 개념.
이중연결성 기능 개념.
야구장이나 축구장처럼 사람들이 갑자기 많이 모이는 지역에서는 스마트폰 통화나 통신이 쉽지 않다. 국내 연구진이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는 진보된 소형셀 기지국 SW기술을 개발,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 2016년 LTE 소형셀 (Small Cell) 기지국 SW개발 성공에 이어 LTE-TDD LTE-TDD(Time Division Duplex) 기술과 이중연결성이 지원되는 SW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이러한 기술들은 향후 건물이나, 운동경기장, 가정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고 기존 SW기술이 업그레이드 됨에 따라 향후 5G(세대)에서도 활용될 수 있는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ETRI가 개발한 기술은 향후 사람이 많이 모이는 경기장, 백화점, 재난지역, 군통신 등 트래픽이 급증하는 곳에 유용하다. 실내·외 건물 벽이나 전봇대, 통신안테나 등에 마치 무선랜 AP처럼 척척 붙이거나 배낭을 메고 다니면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1만 명을 수용하는 야구경기장의 경우, 소형셀 100개 정도를 붙이게 되면 기존 데이터 서비스 대비 50배 정도의 전송속도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연구진은 소형셀의 크기는 용도에 따라 실내용은 무선랜 AP 크기정도로 실외용은 신발박스 크기로 최소화했고 배낭으로 만들 경우 무게는 10kg내외라고 설명했다.

현재 LTE 기반 소형셀 기지국 관련 SW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가격 경쟁력 약화, 기술 차별화 미비, 제품출시가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ETRI가 기술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 해결이 가능케 됐다. ETRI측은 이르면 오는 상반기 말이나 하반기 초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진이 개발한 LTE-TDD기술은 상향(Uplink)과 하향(Downlink) 상향, 하향 : 상향은 데이터를 보내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용량이고 하향은 데이터를 받는데 필요한 용량의 비율을 시간으로 나눠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LTE에서는 7가지 방법으로 상·하향 링크 비율을 달리할 수 있다. 상황에 맞게 상·하향 데이터속도 비율을 조절 할 수 있는 셈이다

또 이중연결성이 지원되는 SW기술은 향후 5G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LTE-A 프로기술이라 불리는데 사용자가 두 개의 기지국을 동시 연결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5G에서는 4G와 5G 기지국을 동시 연결해 사용도 가능하다.

아울러 연구진은 추가적으로 기지국간 간섭을 제어해 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사용자의 전송 속도를 높여주는 향상된 간섭제어(eICIC eICIC(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ntrol)기능과 많은 사람이 동시 동영상 스트리밍을 받을 때 무선자원을 효율적을 활용하는 eMBMS 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 기능도 개발했다. 또 소형셀 기지국 SW를 검증하는 시험환경기술도 성공적으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오는 26일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는 MWC 2018에 ㈜유캐스트와 함께 기술을 출품, 해외마케팅을 할 예정이다. 이용민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배낭형 소형셀 기지국.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배낭형 소형셀 기지국.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배낭형 소형셀 기지국 시연 장면.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적용된 배낭형 소형셀 기지국 시연 장면.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