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개헌]2부 대전에 활력을 ②교육과학도시 위상 재정립 절실

대전 유성구 장동에 위치한 대덕연구단지, 국립중앙과학관 전경.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 유성구 장동에 위치한 대덕연구단지, 국립중앙과학관 전경.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은 1973년 정부가 대덕연구학원도시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과학기술`의 첨병으로 성장해왔다. 45년의 시간 동안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소속 25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비롯해 KAIST, 국립중앙과학관, 기업연구소 등이 국가과학발전을 위해 24시간 활약을 벌여왔다. 지금도 사람들 머릿속에 대전은 `대덕연구단지`가 각인돼 있고 과학도시라는 이미지와 위상이 남아있다. 특히 1993년 대전엑스포가 개최된 후로부터 첨단과학도시, 교육도시 대전의 정체성은 더욱 짙어졌다. 하지만 최근에 이르러서 과학도시 대전의 이미지가 예전보다 옅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민들은 대덕연구단지를 `도시의 섬`으로 인식하며 괴리감을 느끼고 있으며, 과학과 교육의 도시라는 상징성은 과거의 영광으로 남아있다. 이 같은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분권`이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독일 등 연방정부(중앙정부)와 주정부(자치단체)로 나뉜 선진국의 경우 도시의 이미지를 주정부가 주도적으로 나서서 꾸미고 있으며, 예산을 비롯한 정책지원도 선제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주도의 과학기술정책에서 대전시, 시민과 함께하는 과학도시 실현을 분권을 통해 할 수 있는 셈이다.

◇왜 과학교육도시인가=대한민국 어디에도 대전에 위치한 대덕연구단지만큼 과학기술이 집적된 클러스터를 찾아볼 수 없다. 수십여개에 달하는 출연연을 비롯해 대학, 관련기관이 밀집된 대전은 과학과 교육기능이 타 지역에 비해 극대화된 지역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세계에서 꼽을 수 있는 유수의 대학인 KAIST를 비롯해 지역거점국립대인 충남대, 이공계에 특화된 한밭대는 물론 한남대, 우송대, 목원대, 배재대, 건양대, 대전대, 대덕대, 대전과기대, 침례신대, 대전보건대 등 수많은 대학교가 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도시마다 지닌 특색과 장점을 끌어내 도시의 상징이미지로 삼는 것이 아무런 기반이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것보다 효율적이고, 효과 또한 극대화할 수 있다. 올해 분권이라는 골든타임을 대전시가 적극 활용한다면 과학도시의 위상이 과거의 영광에 그치는 것이 아닌 다시금 시민과 호흡하며 도시 이미지를 제고할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분권이 실현돼 지방정부에 예산과 인력, 법률 제정 등 권한이 부여될 경우 도시 특색을 수립하는 일이 최우선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와 자치단체가 합심한다면=독일의 막스플랑크연구소는 1948년 출범해 현재까지 노벨상 수상자를 18명 배출한 세계적인 연구기관이다. 매년 세계적으로 저명한 과학저널에 1만 5000건이 넘는 연구 성과가 소개하는 등 저력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막스플랑크연구소 소속 연구원 80%는 독일에 위치한 대학들과 교육을 비롯해 과학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2005년부터는 대학과 협력 강화를 위한 `Max Planck Fellows` 계획을 수립해 대학 교수들이 연구소 실무 그룹을 이끌 수 있도록 했으며 현재까지 34개 실무그룹이 설치됐다. 막스플랑크연구소가 과학기술분야에서 세계가 부러워할만한 성과를 내기까지는 연방정부(중앙정부)의 지원뿐만 아니라 주정부(자치단체)의 도움이 주요하게 작용했다.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재정은 독일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공동부담을 통해 확보된다. 지난해 막스플랑크협회는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매칭한 공적자금 지원을 통해 18억 유로를 확보했으며, 기증과 유럽연합(EU)을 통한 기금도 일부 활용하고 있다. 현재 대덕연구단지가 중앙정부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예산 대다수를 확보해 운영하는 점과 견줬을 때 분권 이후 대전시에 부여되는 예산이 과학기술계로 흘러갈 경우 지역과 연구단지의 연계는 더 깊어질 수 있다,

지역의 한 출연연 고위 관계자는 "대전시가 분권을 기회삼아 선제적으로 과학도시 위상을 재정할 시기가 왔다"며 "관계 형성을 위해 단순 행정직 공무원이 6개월-1년여 순환근무하며 수박 겉핥기 식 교류를 탈피해 출연연과 대전시 간 인사교류, 전문직 도입을 통해 과학도시 이미지를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분권 이후에 이 같은 계획을 수립하는 것보다 선제적으로 분권에 대비한 마스터플랜을 지금 준비하는 것이 대전만이 가진 과학이라는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전국에 흩어진 출연연 분원이 수행하던 과학실증업무를 대전에 유치해 지역을 과학무대로 만드는 것을 핵심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른바 대전을 과학실증무대로 만들자는 것이다.

최근 안타까운 인명참사가 발생한 병의원, 다중이용시설 화재를 비롯해 싱크홀, 전염병, 범죄, 보안, 편의시설 등 시민과 밀접한 현안을 과학적으로 풀어날 방법은 무궁무진하다.

대전지역 출연연 부원장으로 구성된 출연연혁신위원회가 지난해 `사회문제해결형 연구` 초안을 잡고 사회와 호흡한다고 천명한 바 있다.

지역사회가 시민들이 멀게만 느끼던 과학을 피부로 체감할 수 있도록 현장 곳곳에 응용한다면 과학도시 대전의 이미지는 자연스레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