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새해 들어서도 청년실업률은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말에 이어 새해에도 10%에 육박하고 있으며 실제로 느끼는 체감 실업률은 20%대를 넘어서고 있다. 저출산 여파로 인한 청년인구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실업률이 올라가는 아이러니한 현상은 청년취업자수가 더 큰 폭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높은 청년실업은 오늘날 여러 곳에서 갖가지 사회문제를 유발시키고 있다. 최근에 불어 닥친 가상화폐에 대한 광풍과 다시 불붙은 로또 열풍은 그 속에 꿈을 잃은 많은 젊은이들이 포함돼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청년실업문제의 해결은 결코 단순하지 않은 우리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조명하고 풀어야 할 난제 중의 하나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일자리의 부족에 있다. 단순한 일자리가 아니라 청년고학력자들이 선호하는 일자리의 부족이다. 그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란 비교적 높은 임금과 함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안정된 일자리를 말한다. 그러다 보니 공무원을 비롯한 공기업, 그리고 대기업의 취업에 수많은 인재들이 목숨을 걸다시피 하고 있다.

혹자들은 쉽게 말한다. 청년취업자들이 중소기업으로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고. 그러나 현실을 보자,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과의 임금격차, 노동환경, 복리후생 등등. 과연 이들의 눈높이만을 탓할 수 있을 것인가? 사회는 이미 그들이 생각하는 기대치 이상의 수입과 근로조건을 보장하는 일자리가 아니고서는 결혼과 함께 미래의 가정을 꾸리는 일이 불가능한 현실이 돼버렸다.

이처럼 여러 가지 문제가 결합된 결과로 나타난 청년고학력자들의 실업문제를 단순하게 하나의 요술방망이로 해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원인을 하나하나 분석해 차근차근 내실 있게 문제를 풀어가는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이 같은 방식의 일환으로 정부가 선도적으로 공공부문의 일자리 창출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가 나타나기 까지는 긴 시차와 함께 정부주도형 정책은 결국 국민들의 세금부담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기업들의 투자를 촉진시켜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기대도 만만찮은 난관에 봉착하고 있다. 대내외적으로 악화된 기업환경과 최근 들어 단행된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으로 중소기업들과 자영업자들은 아우성이고 이로 곧 근로인원 감축으로 이어져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오히려 청년근로자들이 실업에 내몰리고 있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방법 중에 하나는 검정되고 자격 있는 지역대학들을 적극 활용해 이들로 해금 청년고학력자들이 선호하는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지금 지역대학들은 오랫동안 계속된 등록금 동결과 함께 곧 닥쳐올 입학생 급감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다. 이 같은 위기에 처한 지역대학들을 일자리 창출의 허브로 적극 활용함으로서 대학과 지역경제, 나아가 국가경제가 서로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할 수 있다고 본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지역대학이 지식창조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지역을 위해 지식을 응용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집약기업들을 창출하고, 또한 이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는 근거들이 제시되고 있다. 즉 지역대학들은 산학협력의 과정에서 창조된 지식을 지역기업에 확산 이식시킴으로서 기업들의 이윤창출을 유도하게 되고, 이는 다시 기업들의 투자여력 확대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청년고학력자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지금이야 말로 정부는 이들 지역대학에서 활발한 지식창출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과 함께 기초 및 응용분야에 대한 전폭적인 연구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할 시점이다. 보다 과감한 지원이야 말로 지역의 지식집약기업 창출과 함께 청년고학력자들이 기대하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질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지역대학과 지역경제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순환 고리를 만들어 주게 될 것으로 본다. 김선재 배재대 전자상거래학과 교수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호창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