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전역 살리기가 기약없이 미뤄지고 있다. 대전시가 관련 연구용역을 발주했건만 두 차례나 유찰되면서 활성화로 가는 걸음을 옮기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용역은 서대전역 이용객 현황과 주변 상권 분석을 바탕으로 열차 이용객 증대 및 주변 상권 활성화 대책 등을 모색하자는 내용이다. 대전 철도특구(가칭) 가능성 검토 및 지정 등과 관련한 연구도 들어있다. 6개월 기한에 9000만 원에 가까운 금액인 데 연구원이나 대학 산학협력단 같은 곳의 반응이 전혀 없다고 한다. 전례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시는 용역의 수행 목적과 방법, 기간 등을 검토해 다시 발주할 계획이라지만 용역 단계부터 외면 받는 듯해 씁쓸하다.

서대전역은 대전역과 더불어 교통의 요충이자 철도도시인 대전의 한 축을 담당해왔다. 하지만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경유하는 KTX의 운행횟수가 기존 62회에서 18회로 대폭 줄어들면서 이용객이 급감했고, 주변 상권은 급속하게 위축됐다. 서대전역 살리기를 바라는 지역 여론은 지난 2016년 12만 명에 달하는 시민이 서명에 참여할 정도로 열망이 컸다. 그럼에도 뾰족한 대책은 여전히 나오지 않고 있다. 올해 호남선 고속화 사업 사전타당성 조사 용역비 1억 원을 국비 확보해 분위기 반전이 기대된다지만 시 차원의 활성화 방안 찾기를 미뤄선 안될 일이다.

시는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이 달리기 시작하는 2025년에 맞춰 중장기적인 발전체계를 구상하는 모양이다. 서대전역과 서대전네거리역, 신설되는 용두환승역을 잇는 철도 삼각지대를 통해 활로를 찾는다는 구상이다. 실행 플랜 마련이 중요하고, 연구 용역은 그 첫 단추나 마찬가지다. 민간에서 용역을 수행하기 곤란하다면 시의 싱크탱크인 대전세종발전연구원이 나서지 않을 이유가 없다. 도시 재생 같은 정부 공모 사업에 참여해 활로를 모색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아울러 KTX 증편을 관철하고, 직선화를 앞당기는 데 정치권의 역량을 결집하기 바란다.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