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
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 사진=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이 운영하는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이 대기업 홍보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

소비자에게 신뢰할 수 있도록 유통업체 별 소매가격을 제공한다는 취지와 달리 대기업 계열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의 판매 자료가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1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참가격` 가격정보 판매점을 지난해 373곳에서 올해부터 1379곳으로 확대해서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중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는 411곳, GS와 롯데 등 대기업 계열 기업형슈퍼(SSM)는 899곳, 백화점 31곳, 편의점 3곳(본사), 전통시장은 35곳으로 나눠져 있다.

대전과 세종, 충청지역의 경우 조사대상 149곳 중 142곳이 대기업 유통망이었으며 전통시장은 7곳이었다.

문제는 참가격이 제공하는 가격정보가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에 몰려있다는 점이다.

참가격 전체 판매점 중 대형마트와 SSM, 백화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97.5%에 달했으며 골목상권으로 불리는 전통시장은 단 2.5%에 불과했다.

대기업 유통망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대기업 판매점 정보를 보는 구조가 됐다.

참가격 품목별 가격정보를 통해 대전지역에서 판매되는 `신라면`의 값을 비교할 경우 전통시장 정보는 중리시장과 한민시장 2곳의 정보만 제공되는 반면 대형마트와 SSM은 13곳의 가격이 도출됐다.

반면 민간단체인 소비자교육중앙회 대전지부의 `생활필수품 비교조사`에는 대형마트와 소상공인, 전통시장 비율을 맞춰 소매가격을 조사하고 있어 대조를 보였다.

소비자교육중앙회 대전지부는 30곳의 판매점을 조사하고 있으며, 이중 대형마트 12곳, 대형슈퍼 10곳(SSM 제외 매장 5곳), 백화점 2곳, 전통시장 6곳으로 분류돼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전통시장에 2.5%의 비중을 둔 가운데 소비자교육중앙회는 조사대상의 30% 가량을 전통시장을 비롯한 소상공인, 골목상권에 안배한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시민들을 비롯해 민간단체에서는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참가격에 문제가 있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송병희 소비자교육중앙회 대전지부장은 "정부가 침체된 전통시장 활성화에 집중하는 가운데 오히려 참가격이 전통시장을 외면했으며, 이는 형평성 차원의 문제로 볼 수 있다"며 "전통시장 정보가 소외된 채 대기업 판매점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에 제약을 받을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국소비자원은 조사방식과 예산문제로 인해 전통시장 비율을 확대하는 것이 어렵다며 난색을 표했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대형마트와 SSM의 경우 해당 기업에서 가격정보에 대한 협조를 통해 자료를 제공받아 올리는 반면 전통시장은 일일이 조사원을 투입해 조사해야 하는 상황이다"며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상인회를 통해 자료제공 협의를 진행했으나 여의치 않았고 전통시장 수치를 늘리기 위해선 더 많은 조사원을 투입해야 하지만 한정된 예산에 인건비 확보가 녹록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정재훈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정재훈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