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리뷰]

1987
1987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냐." 영화 `1987`는 용기있는 이들이 어떻게 역사를 바꾸는지를 그린 영화다. 부당함과 부조리함에 "잘못됐다"고 말할 용기, 저항할 수 있는 용기가 왜 필요한 지 이 영화는 다시금 깨닫게 해준다. 사회 변혁의 거센 물줄기는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문고리에 손을 대고 있어도 문고리를 돌려 문을 열 수 있는 용기는 쉽게 쥐어지지 않는다. 다만 지속적인 시도에서 문을 열 수 있는 기회는 필연적으로 다가온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한다. 증거인멸을 위해 박처장(김윤석)의 주도 하에 경찰은 시신 화장을 요청하지만, 사망 당일 당직이었던 최검사(하정우)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밀어붙인다.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를 이어가는 경찰. 그러나 현장에 남은 흔적들과 부검 소견은 고문에 의한 사망을 가리키고, 사건을 취재하던 윤기자(이희준)는 `물고문 도중 질식사`를 보도한다. 박처장은 조반장(박희순)등 형사 둘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 한다.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조반장을 통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유해진)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김태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되는데….

영화는 박종철 열사의 고문치사 사망사건을 계기로 들불처럼 일어난 민주화 혁명을 담고 있다. 군부 독재 정권 시절 탄압과 억압 속에 `민주주의`는 잊혀졌다. 민주주의를 외치며 스러져간 수많은 이름모를 열사들의 희생 속에 우리는 현재를 맞이했다.

영화에서 박종철 열사의 고문치사 사건이 수면 위로 떠오른 건 사회에서 제 역할을 하려는 이들로 인해 가능했다. 그 시절 서울대 등 명문대생이 수없이 의문사를 당했지만 유독 박종철 사망사건에 직관력을 내보인 검사, `공권력 끝판왕`이라 불렸던 그 시대 경찰의 행태에 대한 검사와 기자의 촉, 공권력보다 진실이 묻히는 것에 겁내던 언론, 지속적으로 부당한 탄압에 소리내던 민중 열사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부조리함은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을 때 혹은 수행하지 못하게 할 때 이는 것이기에, 이에 대한 저항은 현재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원칙이 설 때 나타난다.

영화는 `경험`이 등장인물을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에 주목한다. 중앙일보 특종에 `물 먹은` 동아일보 기자가 어떻게 권력이 일러주는 사실에서 진실을 파헤치는 지, 공산주의자에 가족이 처참하게 살해당한 기억과 경험이 `레드 콤플렉스`로 발현되는 경찰, 사회의 변화보다 상황에 수용하던 민중이 어떻게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갖게되는지가 그려진다.

인간은 굳이 경험하지 않더라도 여러 정보 속에서 옳고 그름을 판단한다. 거기에 `경험`이 덧붙여지는 상황이라면 이는 관점이 아니라 신념으로 변해가기도 한다. 영화에 등장하는 박처장은 경험으로 갖게 된 신념 속에 정권의 충실한 개가 된다. 반면 영화 말미에 민주화 운동에서 주변인이었던 김태리가 자신과 가까이 있는 이들이 공권력에 의해 다치자 전경 버스 위에 올라가 시위에 가담하는 장면은 옳지 않은 일에 대해 민중이 어떻게 들불처럼 일어나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장면이다.

영화에서 김태리는 재야인사에 중요한 정보를 전해주길 부탁하는 삼촌에게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냐"고 되묻는다. 한 사람의 역할로 세상은 쉬이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지만 그 속에서는 민중은 권력에 대항하지 못한다는 패배주의가 팽배한 사회상이 담겨있다. `윤회`를 그린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에도 비슷한 대사가 나온다. 미국에서 노예 해방 운동을 하겠다고 선언하는 사위에게 그의 장인은 "자네 행동은 무한한 바다 속 작은 물방울에 지나지 않아"라며 폄하하지만, 사위는 "수많은 물방울들이 모여 바다가 되는 것 아니냐"는 의미심장한 대답을 한다. 결국 미국에서 노예제도는 폐지됐다.

역사에서 우연은 없다. 당시 사회의 흐름이 1986년 아시안게임을 성공적으로 치르고 1988서울올림픽으로 전 세계의 눈이 대한민국에 쏠려 있었다고는 하지만 의지와 용기가 모여 사회변화를 일궈낸 필연적 결과는 언젠간 올 미래고 현재였을테다. 박종철·이한열 열사 외 수많은 이름모를 열사들의 청춘이 피지 못하고 스러져 간 그 길에서 우리는 제대로 가고 있는 지 되묻는 영화이기도 하다. 강은선 기자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987-2
1987-2
1987-3
1987-3
1987-4
1987-4

강은선
저작권자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